earticle

논문검색

사회통합적 측면에서의 통일교육 내용구성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Methods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View of Social Integration.

조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methods and principle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light of social integration centering around the methods and objects of unification and significance of social integration as a medium of un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The first,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organized in the dimension of the domain of subjects, personal psychology, and experiential instances. In the dimension of the domain of subjects,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not be contained in just one particular subject but in various subjects to match their characteristics with priority given to ethics. In the dimension of personal psychology,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organized in the personal and microscopic dimension to restore homogeneity and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In the dimension of experiential instances, we must not just list facts and theories uniformly like we used to. We must organiz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with realistic and experiential instances. The second, the methods of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are represented in the dimension of the methods and objects of unification. In the dimension of the methods of unification,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constructed into the domains of unification process and its media. In social integration as a unification process, it is very important to restore our trust through the sincere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So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organized with experiential instances rather than facts related to trade and cooperation. In the dimension of social integration as a unification medium,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organized based on each member's attitude and his or her daily lives rather than in the macroscopic, systematic and structural dimension.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as an aim of unification, we must research homogeneity and dissimilation phenomena more subjectively and then include the results into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ystematically. To solve the problems of preconceptions, prejudice and fixed ideas formed by hostile and competitive policy in the dimension of political ideologie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ir senses of values, anti-prejudice education must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we must study our cultural traditions subjectively, establish our cultural identity suitable to present situations and include them in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we must settle discussion and debate cultures to solve conflicts by the differences of a view of the south-north relation. So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include our points of debate and be a field of efforts to achieve an agreement.

한국어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의 측면에서 살펴볼 때 통일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은 정치적, 이념적, 군사적인 영역에서 정서적 합의와 같은 심리적 요소를 포함하는 사회문화적 영역으로 옮아가고 있다. 통일을 제도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람과 삶의 문제’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변화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통합이론의 시각에서 통일방법과 목표 그리고 통일매개체로서 사회통합적 의의를 중심으로 통일교육 내용편성 방향과 그 내용구성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통일교육의 내용편성 방향은 교과영역의 차원과 개인적 심리적 차원 그리고 경험적 사례 차원을 감안한 편성이 요구된다. 교과 영역의 차원에서는 어느 특정한 교과에서만 취급하여 통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보다는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각 교과목의 특성에 부합하는 내용을 분산하여 편성해야 할 것이다. 개인적 심리적 차원을 고려한 통일교육의 내용편성 방향은 보다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동질성회복과 사회통합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경험적 사례 차원에서의 통일교육 내용편성 방향은 과거처럼 획일적으로 지식이나 이론을 나열할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편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통일교육 내용구성 방안은 통일의 방법과 목표의 차원에서 제시되었다. 통일방법 면에서 통일교육 내용구성은 통일과정과 통일매개체의 영역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통일과정으로서의 사회통합에서 남북한 주민간의 정직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통일교육내용은 교류와 협력 증대의 사실만을 기술할 것이 아니라 보다 경험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해야한다. 그리고 통일 매개체(수단)로서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통일교육 내용구성 방안은 거시적, 제도적, 국가적 그리고 구조적 차원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구성원 개개인의 의식정향과 일상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내용을 구성해야한다. 통일목표로서의 사회통합 달성을 위한 교육내용 구성방안은 이질화 극복과 동질성회복 문제를 좀 더 주체적으로 연구하고 연구결과를 교육내용에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남북한 양측의 정치이념과 가치의식 영역에서 이루어졌던 대결적, 경쟁적 정치교육이 빚어낸 고정관념이나 선입견과 편견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반 편견교육을 교육내용으로 구성해야할 것이다. 또한 통일매개체(주체자)로서의 사회통합을 위해 주체의식을 가지고 민족고유문화를 성찰하며, 현대적 상황에 적합한 문화정체성을 확립하여 통일교육 내용에 반영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토론과 논쟁의 문화를 정착시켜 우리 내부에서 일어나는 남북관계를 보는 시각의 차이에 따른 갈등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성숙한 사회가 요구된다. 따라서 통일교육 내용영역은 우리의 논쟁점들을 포함하면서 합의점을 찾아가는 노력의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시작하는 글
 II. 통일과 사회통합
  1. 통일방법으로서 사회통합의 의의
  2. 통일목표로서 사회통합의 의의
 III. 사회통합으로의 통일교육 변화
  1. 통일정책 변화과정에서의 사회통합
  2. 통일교육의 변화와 사회통합
 IV. 통일교육 내용의 구성
  1. 통일교육 내용편성 방향
  2. 통일교육 내용구성 방안
 V. 마치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혜영 Cho, Hye-Young. 경상대학교 윤리교육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