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in Moral Education

차우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that assess a series of the teaching activities related to Mor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is to improve not only teachers' professionalism but also classroom practices in Moral Education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In this study we tried to modify the general standards for teaching evaluation, and also particularize the subject-specific, in other words, Moral Education standards basing on the general standards. It might be complex and controversial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standards of teaching evaluation in Moral Education since it is a subject that deals with moral values and ideological doctrines. The criteria for the standards of in Mo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basic principles of controlling the quality of Moral Education classroom and of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expertism in Moral Education classroom.

한국어

도덕과의 수업평가 기준은, 일반 교과와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있겠지만, 도덕과 수업만이 지닌 독특한 특성을 잘 반영한 기준(standards) 내지 지침들(guidelines)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도덕과의 경우에는 도덕적 가치와 이념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수업평가 기준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큰 혼란과 갈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은 현장 교사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도덕과 수업의 질 관리 제고 뿐만 아니라 교사의 도덕 수업 전문성을 제고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서 이 연구는 바람직한 도덕과 수업의 조건을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수업평가 요소를 추출하여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 및 기준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도덕과 수업을 장학하는 전문가나 교사들이 도덕과 수업평가 운영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중 도덕 수업평가 영역(요소)으로는 (1)지식과 능력(성격, 목표, 내용 및 내용방법 관련지식,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 교과서, 학습자의 발달과 흥미에 대한 이해), (2)수업설계(수업절차 계획 및 연계 방안 계획, 수업 준비 및 사전 계획), (3)수업실행(교수․학습방법의 활용,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 적절한 수업환경의 유지, 평가방법의 활용), (4)전문성 제고(수업에 대한 자기반성, 수업에 대한 동료장학)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에 대한 활용 방안에서는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의 검증과 상세화 과정, 자기 평가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의 적용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바람직한 도덕과 수업과 수업평가
  1. 바람직한 도덕과 수업의 조건
  2. 수업평가의 의미
 III.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의 개발
  1.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의 개발 방향
  2.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의 영역 및 구성요소
  3.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 요소별 상세화
 IV.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의 활용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우규 Cha, Woo-Kyu.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