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교수의 의미

원문정보

A Meaning of Aristotle's Ethics Teaching

박장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aning of the nature of Aristotle's Nichomachean Ethics(NE) in terms what is the roles of teaching about ethics or moral theory in moral education. First, this article seeks to identify what messages Aristotle intended to give to us by way of writing NE. This article presume that we could get an answer about that from the project that Aristotle was supposed to complete in NE. Second, this article seeks for implications that the requirement, ‘good upbringing’ that Aristotle asked NE learners could take about relations between learning moral theories and moral education. This article approaches these tasks from particularistic perspectives against the standard interpretations about NE.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aristotle's project was to emphasize that unless NE learner had a virtuous character, that is, habituation or good upbringing in advance throughout practices, he couldn't understand his lecture because of his inability to perceive virtuous acts, rather than to illuminate general moral principles for readers so that those could be internalized to them as practical guidelines. NE means that a vice learner cannot be educated by rational persuasions through learning moral theories or ethics, and if he be a virtuous man, he must have good upbringing or habituations. As a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 that our schools where we are about to set moral judgement or critical reasoning as a compelling goal in subject matter ‘morals’ and ‘ethic’ must be concerned with moral habituation and moral atmospheres more than now.

한국어

본 논문은 도덕교육에 있어서 도덕이론 학습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교육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그가 윤리학을 통해서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는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대한 답변은 그가 윤리학의 학문적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밝힘으로써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가정했다. 둘째, 그가 제시한 윤리학 학습자의 전제조건은 도덕교육과 윤리학 학습의 관계에 대해서 무엇을 시사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논자는 이 과업을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 대한 표준적인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는 특수주의 관점을 취해서 접근하고자 했다. 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학>에서 일반적 도덕원리를 규명하고, 그 원리를 내면화하는 실천적 안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라기보다는 지속되어온 도덕 관행에 의한 습관화, 즉 훌륭한 양육을 받지 않으면 도덕이론 혹은 윤리학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산물임을 밝힌다. 도덕이론 혹은 윤리학 학습은 합리적 설득과 설명이 아니라 지각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악덕한 학습자에게는 도덕이론 학습은 지양되어야 하고 다시금 습관화의 과정을 밟어야 한다. 이러한 해석을 수용한다면, 우리의 도덕교육에 있어서 습관화와 도덕판단 훈련의 병행이나 판단력 위주의 방향은 습관화의 중요성에 대해서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문제제기
 II. 일반주의 해석의 근거: 기능논변
 III. 윤리학의 학문적 성격
  1. 윤리학의 '제1원리'
  2. 윤리학의 부정확성과 지각의 규범적 우선성
 IV. 윤리학 학습자의 조건
  1. '훌륭한 양육'의 상태
  2. 학습 불능의 근거
 V. 결론: <윤리학>의 교육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장호 Park, Jang-Ho. 경성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