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ew Police officer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new police education will affe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Central Police Academy, the new policemen(288th newly appointed officers) were surveyed as a survey of educational satisfaction(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facilities, teaching facilities), and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shown that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Second, the teaching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factors contributing to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Thir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eaching ability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factors involved in organizational involvement, and education cours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ance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for working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in a more case-oriented instruction, and the practice of on-the-job training is required to ensure practical hands-on learning.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앙경찰학교를 졸업한 신임경찰 288기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교육행정, 교육과정, 교수능력, 교육시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교수능력이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교수능력이 조직몰입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은 조직몰입 중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무과목 교육이 좀 더 사례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과 실습교육이 실질적으로 현장 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