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Female Employment and Prejudice against Women on Justification of Family Violence : A Multi-Level Analysis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individual-level and country-level factors affecting justification of domestic violence amid emerging social significance of family violence. For individual-level variables, prejudice against women in economic and social roles were used from the World Value Survey data. As for country-level variables, total of 36 countries were analyzed with indices that represents gender equality such as women’s employment rate and democracy index. Women’s employment rate was gathered from the Labour Market Database of the World Bank and democracy index was from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Results showed that both individual-level, prejudice against women in economic and social roles and country-level variables such as women’s employment rate and democracy index had significant effects on justification of domestic violence. This result impli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positive social culture which promotes positive attitudes towards perceptions of gender role and gender equality. As well, country-level endeavors to raise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deem important.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사회적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가정폭력 정당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국가수준의 요인을 진단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수로는 경제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을 사용하였으며, 국가수준의 변수로는 성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여성취업율과 민주주의지수를 고려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국가는 총 36개 국으로 개인수준에서는 세계가치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국가수준에서는 국제부흥개발은행의 여성취업률 자료와 경제정보연구소에서 발행한 민주주의지수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의 변수인 경제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역할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 모두 가정폭력 정당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수준의 변수인 여성취업률과 민주주의지수 또한 가정폭력 정당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수준의 왜곡된 성역할 인식과 국가수준의 성불평등이 가정폭력 정당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이러한 결과는 성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문화 조성과 국가수준에서의 성 평등에 대한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별첨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