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교사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

원문정보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이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with the aim to provide efficient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coursed.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575 pre-service teachers who answered a survey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SPSS 19.0 for Windows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χ2-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K-means clu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conducted a factor analysis of multicultural awareness, cultural d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grade, experiences of subject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 higher need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taking cour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higher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ccording to Multicultural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training groups they were classifie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as actively cultural diversity groups, passive cultural diversity groups, three groups of selective cultural diversity groups. Actively cultural diversity group was higher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for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ly recognizing cultural diversity to conduct a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efficiently, there should be both systematic pre-service education programs at college level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the teachers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한국어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문화다양성으로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예비교사 575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 중에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이를 알아보며, 다문화인지 유형에 따른 문화다양성 인식의 관련성을 조사함으로써 교원양성기관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에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9.0 Program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원에서, 예비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한 다문화인지도의 요인은 문화수용성, 문화정체성, 문화평등성 순으로 나타났고, 문화다양성 요인으로는 다양성 가치, 다양성 기회, 다양성 적용, 다양성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에 따라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다문화교육의 이해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예비교사가 문화다양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인지 유형에 따른 문화다양성 인식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인지도 집단을 분류한 결과, 선택적⋅소극적⋅적극적 다문화인지 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다문화인지도는 문화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적극적 다문화인지 집단은 문화다양성 모든 변인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문화교육 수강경험이 있는 예비교사일수록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으며, 문화다양성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할 자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교원양성기관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기존의 다문화교육의 이해 수준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자기 문화의 정체성을 살리며 다양한 문화 가치를 이해하려는 문화다양성 교육내용이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었으면 한다. 따라서 앞으로 교원양성기관 다문화 교육과정을 구성함에 있어 가치 중심의 문화다양성 내용이 통합적으로 제시됨으로써, 급속도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다양한 다문화적 문제를 실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적극적 방안으로 모색되어지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화다양성에 대한 교육적 논의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방법
 IV. 연구결과 및 해석
  1.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원
  3.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이
  4. 다문화인지도 유형에 따른 문화다양성 인식의 관련성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희 Lee, Eun Hee.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