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도네시아의 농ㆍ식품 수입 유통경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nnel of Imported Agrifood in Indonesia

이승택, 이창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donesia, which is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has a growth potential as huge consumption market, has been making the non tariff barrier of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high by letting its importer verification procedures more tightened, reducing the number of harbor for customs clearance and strengthening stricter regulations over dairy products. This study researches more tightened import systems of Indonesia applied to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and explores how to expand our export markets into Indonesia through figuring out both nations’ distribution channels in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 This study showed that Indonesia’s distribution stores didn’t have any specified discrimination between halal and non-halal status food. and especially processed food, fruits and vegetables were placed into their country of origins. this suggested distribution channels of non-halal food to Indonesia be still available to us. However, most of our export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were biased towards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igarettes, which also showed the possibility that if we get halal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to our halal-processed food, export opportunities to the Indonesian Halal market would be followed accordingly. It is also expected that finding a market for halal foods in Indonesia will be a cornerstone of sustainable growth in our economy. But it can be happen only when governments and related industries try to cooperate to figure out which country and products are halal-certified, give a support to companies that try to get the KMF(the Korean Muslim Federation) certifications and lead companies to apply to and participate in halal-related fairs abroad.

한국어

자원 부국이자 거대 소비시장으로서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인도네시아는 수입자 인증요건 강화, 수입 농산물에 대한 통관 항구 축소 및 검역 강화, 축산품 수입 관련 규제 강화 등의 조치를 통하여 농·식품 분야의 비관세장벽을 높이고 있다. 이에 인도네시아 수입 유통구조를 파악한 결과, 인도네시아 유통매장은 할랄과 비할랄 매대를 특별히 구분지어 운영하지 않고 있으며 가공식품 및 과일 채소 품목은 국가별, 품목별로 구분하여 운영·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비할랄 제품의 시장 진출이 막혀 있지는 않다. 그러나 현재 우리 농·식품 수출의 상당 부분이 궐련을 포함한 농산물이 차지하고 있어 할랄 인증 취득 시 가공 제품 등으로의 제품 다변화를 통한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와 업계의 협업을 통한 기초적인 국가별·품목별 할랄 인증 실태 파악, 정부의 KMF(한국이슬람교중앙회) 할랄 공인 인증기관 취득 지원, 할랄 관련 해외의 각종 박람회 참가 지원 등의 방안이 실행되어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인도네시아 등 무슬림 농·식품 시장 개척의 초석이 견고히 다져져 우리 농·식품 산업의 지속 가능 발전의 발판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입
 Ⅳ. 인도네시아 수입 농·식품 유통 구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택 LEE, Seoung Taek. 원광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부 조교수
  • 이창주 LEE, Chang Joo. 원광대학교 농·식품융합대학 식품생명공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