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祗林寺事蹟」의 書誌와 內容 硏究

원문정보

Study on the Bibliography and Contents of th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

「지림사사적」의 서지와 내용 연구

朴鎔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ree kinds of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 of Gyeongju Girimsa temple and various kinds of temple materials. In addition, This study wanted to present basic data for reviewing the history of Girimsa Temple and its histor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Th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compares and reviews the book published in 1740 and 1794 and the Byulbon Girimsa Sajuk(別本祗林寺事蹟). In addition, this article reviewed and briefly explained the archival materials such as architectural records and book records in the Bulguksaji (佛國寺誌). Th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are divided into woodblocks(木版本), manuscripts(筆寫本) and Korean translations(國譯本). The woodblocks manuscripts(筆寫本) are kept in Girimsa temple, and Dongguk University Library etc. The Korean translations(國譯本) is in Girimsa templ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published in 1794 and Byulbon Girimsa Sajuk(別本祗林寺事蹟) are listed in the Hamguksacha-ljeonseo(韓國寺刹全書) of Kwon, Sang-Ro, and their editions and the Original Text are unknown.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urrent state of the above books and the content of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The contents of th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were divided into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published in 1740 and 1794, Byulbon Girimsa Sajuk. The composition of the above books analyzed the name and the location of the temple, the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of the temple, the temple scenery, the temple originated narratives, the Hymns on sights of the temple, the postscript, the last colophon.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ame and different aspects of th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as a whole and analyzed the related contents.

한국어

본고는 경주 기림사의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 3종과 다양하게 전존하는 사지 자료를 분석하여, 祇林寺의 사명 등 창건과 역사의 전반을 재검토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코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祇林寺 寺誌 자료는 1740년에 간행된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 1794년에 개간된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 「別本祗林寺事蹟」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불국사지」에 수록된 종도리 墨書記를 비롯한 殿閣修建記, 단월 및 공덕기, 불교신앙과 지역 관련 자료 등을 검토하고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기림사의 사지는 1740년에 간행된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의 목판본이 기림사 등 5개 소장처, 필사본이 동국대도서관 등 2개 소장처, 국역 필사본이 기림사에 소장되어 있다. 1794년에 개간된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과 「別本祗林寺事蹟」은 권상로의 「한국사찰전서」에 수록되어 있고, 그 판본이나 저본은 미상이다. 이상의 제본에 대해 그 현황과 서지조사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祗林寺事蹟」의 체제와 내용에 대해서는 「1740년 간본」, 「별본 사적」, 「1794년 개간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사적의 구성은 사명과 입지, 사원의 창건과 구성, 사원 일대 형승, 사원연기, 勝地 五處讚, 後跋, 卷末記文 및 刊行秩의 전반에 대해 상호 수록 여부를 검토하는 한편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祇林寺의 사지 자료
  2.1 祇林寺 事蹟
  2.2 重創 및 殿閣 修建記
  2.3 단월 및 공덕기
  2.4 불교신앙과 지역 관련 자료
 3. 「祗林寺事蹟」의 현황과 書誌
  3.1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
  3.2 「新羅含月山祗林寺事蹟」과 「別本祗林寺事蹟」
 4. 「祗林寺事蹟」의 체제와 내용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朴鎔辰 박용진. 能仁大學院大學校 助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