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碧波 金宇鍾의 민족운동과 정국인식 - 1945∼1949년 강원도 지역 활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Kim Ujong’s Nationalist Activism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Political Situation - Focusing on His Activities in Gangwon-do from 1945 to 1949 -

벽파 김우종의 민족운동과 정국인식 - 1945∼1949년 강원도 지역 활동을 중심으로 -

김동선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39집 2017.12 pp.225-27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m Ujong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Methodist minister who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politics in the Gangwon-do region shortly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He participated in the student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later joined the Righteous Patriot Corps, recruiting students for the Luoyang Military Academy. He also interacted with memb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Kim could not become an influential political figure in the Gangwon-do region, because his political alignment differed from that of the political mainstream group in the reg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rule. He had no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and even took an opposing stance. Kim participated in the Special Investigative Committee on Anti-National Activities, and took part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Federation. Therefore, a study of his life and activities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s national movemen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Gangwon-do region, and the nature and activities of the moderate right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Kim studied at Mogok School. There he committed himself to the Christian faith and pro-independence activism under the influence of Namgung Eok. In 1932, Kim entered the Jinling Theological University in Nanjing, China. During his stay in China, he joined the Righteous Patriot Corps and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and got in touch with key figure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im interacted with people both on the right and the left and such experien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led him, after the liberation, to adopt a stance that prioritized Korean nationality over any ideological commitment. After the liberation, officials at the Gangwon-do Provincial Government transferred their administrative power to Kim, and he organized the Committee of Public Safety. This committee soon turned into the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e committee at the time in Gangwon-do leaned towards the right, but it also included those who were engaged in socialist activities. However, Kim’s political activities soon came to an end due to the allegation that he was carrying a gun while boycotting Kim Jae-eun, the mayor of Chuncheon. This led to a considerable decline in Kim’s political power in Gangwon-do. He did not take part in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at the time. This was because he did not have strong ties to either the members of the Korea Democratic Party or Rhee Syngman. After his release from prison, Kim became the owner of Kangwon Ilbo. Thus the news articles in Kangwon Ilbo reflected his political views. In February 1949, he was elected as a member of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Federation. His political orientation was also reflected in the articles of Kangwon Ilbo. In May 1950, he ran for the second elec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in Chuncheon. At the time, the police in Gangwon-do interfered with his election by branding him a moderate with an anti-government agenda. Judging from these events, it seems that he maintained ties with moderates and the National Independence Federation. In February 1949, despite the interference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Kim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Gangwon-do Investigative Bureau of the Special Investigative Committee on Anti-National Activities by the National Assembly. Kim declared that, rather than penalizing suspected collaborators with Imperial Japan according to their ranks, he would punish those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viciously harmed the people and the higher police officers who persecuted and murdere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This stance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his memory of Namgung Eok who died of torture, and his own experience of being arrested dur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Kim was both a Christian and a nationalist. He saw Christianity as a means to bring unity and prosperity to his nation and the Korean people. Thus he believed that Christians, like Jesus himself, should be revolutionaries who rectify society’s problems. Consequently, although he was a pastor, he seems to have been engaged in political and journalistic activ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religious activities.

한국어

金宇鍾은 독립운동가이자, 감리교 목사로 해방직후 강원지역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인물이었다. 그는 일제강점기 학생운동에 참여한 바 있었고, 이후에는 의열단에 가입하여 낙양군관학교의 학생을 모집하였다. 또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구성원들과도 교류하였다. 그러나 그는 강원도 지역 정치의 핵심인물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그가 취한 정치적 행보가 해방이후 강원도지역의 정치주류집단과는 달랐기 때문이다. 그는 독촉과 연계점이 없었고, 심지어 대치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반민특위에 참가하고, 민족자주연맹에 가담하였다. 따라서 그에 대한 연구는 민족운동사와 해방직후 강원도 지역의 정치상황과 온건 우파의 성격과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 그는 모곡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남궁억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신앙과 독립사상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1932년 중국 남경금릉신학대학에 입학하게 되었다. 그는 유학시절 남경에서 의열단과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과 접촉하였다. 그가 교류한 인물들은 좌우를 망라하였다. 일제강점기 그의 이러한 체험은 해방이후 이념에 얽매이기보다 민족을 중시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만들었다. 해방이후 그는 강원도청 간부진에게 행정권을 이양 받아 치안위원회를 조직하게 되었다. 이 치안위원회는 곧 건국준비위원회로 전환되었다. 당시 강원도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은 대체로 우익적인 성향이 강했으나, 사회주의 활동을 하던 인물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정치활동은 곧 중단된다. 춘천시장이었던 김재은을 보이콧하던 중에 일어난 권총휴대 혐의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그의 강원도 내 정치적 비중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그는 당시 독촉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가 독촉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그가 한민당계 인물들이나 이승만과 관계가 깊다고 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출옥 후 그는 강원일보사 사장이 되었다. 따라서 『강원일보』의 보도내용은 그의 정치적 입장을 반영하고 있었다. 1949년 2월 그는 민련의 중앙집행위원으로 보선되었다. 그의 정치성향은 『강원일보』 기사내용에도 반영되었다. 1950년 5월 치러진 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그는 춘천지구에 출마하였다. 그때 강원도 지역 경찰들은 김우종이 중간파이며 반정부파라고 하며 그의 당선을 방해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그는 중간파 및 민련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1949년 2월 그는 독촉계 인사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국회에서 반민특위 강원도 조사부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그는 친일혐의자의 지위의 고하보다는 악질적으로 민족에 손해를 끼친 자, 고등경찰로 독립운동가를 박해ㆍ살해한 자를 주로 처단하겠다고 밝혔다. 그의 이러한 인식은 고문여독으로 죽은 남궁억과 독립운동 때 체포되었던 경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는 기독교인이자 민족주의자였다. 그는 기독교를 민족과 국가를 번영시키고 통일을 가능케 할 기재로 보았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예수와 같이 사회를 바로잡는 혁명가가 되어야한다고 보았다. 이런 이유로 그는 목사임에도 불구하고 종교적인 활동에 치중하지 않고, 정치와 언론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성장배경과 항일운동
 Ⅲ. 미군정기 치안유지 및 군정자문 활동
 Ⅳ. 온건우익 정치성향과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활동
  1. 『江原日報』운영과 민족자주연맹 활동
  2.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활동
  3. 기독교의 영향과 민족의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선 Kim, Dong Sun.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