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제2의 반탁운동과 1947년 초 국내 정치세력 동향

원문정보

The Second Anti-trusteeship Campaign and Korean Political Landscapes in Early 1947

박명수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39집 2017.12 pp.175-22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landscape in Korea at the time when it was centered on the second anti-trusteeship campaign, which took place in January 1947. In early 1947, a letter was made to public which planned to resume the second US-USSR Joint Commission, activating again the anti-trusteeship campaign. The All-Korean Student League, which was the primary agent in the 1946 Movement for Entrepreneurship, had again and again planned a large-scale struggle to commence on January 18, but its radical plans were halted by the intense actions of Rhee. However, on January 22, the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passed a resolution for the Anti-trusteeship by 44 to 1. This action had cleary declared the Korean position against trusteeship, while it proves to be a boost to the right wing and a frustration to the lef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① The US Trusteeship plan was not supported by Koreans at the time, ② the opposition movement was focused on Rhee and Kim, ③ although Rhee was in the US at the time, his actual diplomatic leadership was stronger, ④ Kim Gu was also active in the opposition movement, but his leadership skills could not compete with Rhee Syngman, ⑤ Kim Gyu-sik and Yeo Un-hyung supported the Coalition Committee but it could not develop into a force, ⑥ At the time, the left wing supported the US-USSR Joint Commission, it represented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Soviets but it remained distant from the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t that time. In early 1947, the political landscape of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military forces centered on Hodge and the nationalist forces centered on Rhee Syngman. In this argument, the US militar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Soviet Union, but the right-wing forces centered on Rhee built a strategy to oppose the trusteeship and establish a sovereign government in South Korea. At that time, most of the people in South Korea were in support of this position. The development of this political situation led to the birth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한국어

본 논문은 1947년 1월에 일어난 제 2의 반탁운동을 중심으로 당시의 한국 정치 지형을 살펴보았다. 1947년 초 하지는 미소공위 재개를 위한 서신을 공개했고, 이것은 잠복해 있던 반탁운동을 다시 재연시켰다. 1946년 반탁운동의 전위대였던 전국학생총연맹(All-Korean Student League)은 1월 18일 다시금 대규모의 투쟁을 계획했으나 이승만의 제지로 과격한 행동은 중지되었다. 하지만 1월 22일 당시 미군정에 의해서 만들어진 입법의원에서 44: 1로 반탁을 결의하였다. 이것으로 미군정이 추구하는 미소공위는 한국인들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부정된 것이다. 이같은 반탁운동은 우익에게 큰 힘을 제공하는 것인 동시에 좌익에게는 좌절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① 미국의 신탁통치 계획은 당시 한국인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② 반탁운동은 이승만과 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③ 비록 당시 이승만은 미국에 있었지만 그의 외교력을 통한 지도력은 가장 강력했고, ④ 김구 역시 반탁운동의 중심에 있었지만 지도력 경쟁에서 이승만과 비교할 수 없었고, ⑤ 김규식과 여운형은 미군정의 도움으로 좌우합작과 미소공위 재개를 지지했지만 독자적인 세력으로 발전하지 못했고, ⑥ 당시 좌익은 미소공위를 지지하고, 더 나가서 소련의 입장을 대변했으나 당시 한국사회의 주류와 거리가 멀었다. 1947년 초 남한의 정치지형은 하지를 중심으로 하는 미군정 세력과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주의 세력의 대립 구도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런 논쟁에서 미군정은 소련과 함께 한반도의 문제를 풀어보고자 하였지만 이승만 중심의 우익세력은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남한에 단독정부를 세우는 전략을 세웠다. 당시 남한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이승만의 입장을 지지했다. 이런 정치지형의 전개는 1948년 대한민국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한국 정치의 흐름
 Ⅲ. 제2차 미소공위 재개 가능성과 좌우익의 반발
 Ⅳ. 전국학생총연맹의 반탁시위와 미군정
 Ⅴ. 입법의원의 반탁 결의
 Ⅵ. 반탁 결의 이후의 정국의 전개
 Ⅶ. 맺음말: 1947년 초의 국내 정치세력 동향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명수 Park, Myung Soo.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