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근대 정치ㆍ사회단체의 국민의식 형성과 확산

한국 근대 정치ㆍ사회단체의 ‘국민’ 만들기 - 독립협회ㆍ대한자강회ㆍ대한협회ㆍ신간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Making ‘National People’ of Korean Modern Political and Social Organizations - Focusing on Dokliphyuphoe, Daehanjaganghoe, Daehanhyuphoe, Shinganhoe -

조규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bout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people' of Korean modern political and social organiz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deas of the national people, the national people image, and the movement of making national people of the modern political and social organizations, centered on Dokliphyuphoe, Daehanjaganghoe, Daehanhyuphoe, Shinganho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results of the joint research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consisted of the formation and spread of the national people consciousness, the growth of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people rights,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people im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vement of making national people. The national people consciousness was made in modern times. In the Chosun Dynasty, the people were regarded as the base of nation, but people was the object of reign and rehabilitation, which clearly distinguished them from the monarch and his servants. However, after the latter of 19th century, when accepted Western culture, the national people consciousness was spreaded. Especially after the reform in 1894, the term 'national people' was introduced and a perception that the people were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modern nation state was formed. However, until the collapse of the Korean Empire, the concept of 'national people' meant the servants and people of subjects, except for the king or emperor. On the occasion of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the king or emperor was regarded as a citizen of the Great Korean Nation.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19, the all members of the nation became the national peopl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emperor-servant-general people. In add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eople consciousness, the rights of the people, that was, civil rights consciousness was spreaded. Since the late 1890s, civil rights consciousness has been admitted as 'natural rights'. The members of the Dokliphyuphoe have tried to establish a parliament. The Daehanhyuphoe, which was established in 1907, claimed political rights as well as resistance right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not possible to claim the civil rights of Korea. But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the members of them operated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reflecting the idea of ​​civil rights. In 1908, the Cheondogyo founded a council like a kind of assembly. After the March 1 movement, an assembly was set up and the assemblymen elected from 60 electoral districts tried to run it as the assembly that deliberated and resolved important projects of the church, budget and settlement. In the early 1920s, the suffrage movement and autonomous movement developed after the March 1 movement. The people of Kookmin Association, such as Minwon Sik, developed a suffrage movement for joining the Japanese parliament. And Dong-A Ilbo, CheonDogyo and Christian major people developed an autonomous movement to obtain the autonomous right of action. The proliferation of national people consciousness as well as opinions on the national people image were present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 military and progressive national image with the spirit for saving the nation from the crisis was raised. In addition,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the people were stress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impossible for the people to express the national people, but it tried to form a self-reliant, autonomous person. However, after the March 1 movement, social organism emerged from the criticism of mass kill or wound and mass destruction of World War I, and tried to nurture people with self-reliance, autonomy, harmony, and cooperation spirit . A variety of people-building campaigns were developed to foster ideal people. During the Korean Empire, patriotic enlightenment campaigns were organized through groups, education, and med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 cultural movement for the formation of a new human being through education, publishing and media was developed. As part of this, the theories of cultural movement such as the theory of New Culture Establishment to form the new people. Magazines such as "boy", "youth", "new woman", "new woman", "farmer", "child", "new human", "new peole" In addition, sector movements such as the youth movement, the women's movement, the boy movement, the student movement, the peasant movement, and the labor movement have been developed.

한국어

이 글은 한국 근대 정치ㆍ사회단체의 ‘국민’ 만들기에 관한 글이다. 독립협회,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간회를 중심으로 근대 정치ㆍ사회단체의 구성원들이 가진 국민에 대한 관념과 국민상, 그리고 국민을 만들기 운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2016년 국사편찬위원회의 공동연구의 결과와 기존 연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이 글의 구성은 첫째 국민 의식의 형성과 확산, 둘째 국민 권리 의식의 성장, 셋째 국민상의 형성, 넷째 국민 만들기 운동의 전개로 이루어졌다. 국민 의식은 근대에 들어와 형성되었다. 조선시대에도 民은 ‘民惟邦本’이라고 하여 중시되었으나, 민은 군주 및 신하와 분명히 구별되는 통치와 교화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개항 이후 점차 서구의 문화를 수용하면서 민이 단지 피치자가 아니라 근대국가를 수립하는 주체가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특히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국민’이란 용어가 소개되고 근대 국민국가를 수립하는 데 국민이 기초가 된다는 인식이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대한제국 말까지 ‘국민’의 개념은 국왕이나 황제를 제외한 ‘臣民’이란 의미였다. 그런데 대한제국의 멸망을 즈음하여 신민과 아울러 황제도 국민이 된다는 개념이 제기되었고, 1919년 3ㆍ1운동 후 그러한 인식은 더욱 명확해졌다. 1910년 2월 미주의 한인들은 대한국-민회를 대인인국-민회로 변경하였다. 대한제국의 국호인 ‘대한국’ 대신에 ‘대한인국’이란 명칭을 사용한 것은 ‘대한인국’이 황제의 나라나 臣民의 나라가 아닌 황제와 신민 모두를 포함하는 대한인의 나라라는 의미였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국가의 구성원은 임금-신하-백성의 구별이 없는 모두 동일한 국민이란 인식이 보다 명확해졌다. 국민 인식의 정착과 아울러 국민의 권리, 즉 민권 의식이 확산되었다. 1890년대 후반부터 ‘천부인권론’에 대한 민권의식이 확산되었다. 당시의 민권론은 생명ㆍ재산권의 자유, 언론ㆍ집회ㆍ결사의 자유를 중심으로 한 국민자유권론, 국민평등권론, 국민참정권론에 입각한 소박한 주권재민론이었다. 독립협회의 인사들은 인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 언론ㆍ출판ㆍ집회ㆍ결사의 자유 외에 국민의 정치참여권을 주장하고 일종의 국회와 같은 중추원을 설립하여 운영하려 하였다. 동학교단은 1904년 진보회ㆍ일진회를 설립하여 민권을 지키려 하였다. 그리고 1907년에 설립된 대한협회는 정치참여권과 아울러 저항권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와 무단통치 하에서 공개적으로 민권을 운운할 처지는 안 되었지만, 개별 단체나 기관들은 민권의 관념을 반영하여 단체나 기관을 운영해나갔다. 천도교는 1908년에 議會로 설립한 叢仁院의 기능을 강화하고 의원수를 늘려 衆意를 반영해나가려 하였다. 3ㆍ1운동 후에는 議正會를 설립하고 60개의 선거구에서 公選한 議正員으로 하여금 교회의 중요사업, 예산과 결산 등을 심의ㆍ의결하는 의회로서 운영하려 하였다. 그리고 3ㆍ1운동 후 1920년대 초에는 참정권운동과 자치운동이 전개되었다. 민원식 등 국민협회의 인사들은 조선인을 대표하는 衆議院의 의원을 뽑아 일본의 국회에 참여케 하려는 참정권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동아일보, 천도교 신파, 기독교의 주요 인사들은 행적적 자치권을 얻기 위한 자치운동을 전개하였다. 국민의식의 확산과 아울러 國民像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대한제국기에는 위기에서 국가를 구해줄 호국의 정신을 갖춘 무용적ㆍ진취적 국민상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자유주의사상이 소개되면서 자립적ㆍ자율적ㆍ자립적 국민상이 강조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와서는 국민이란 표현을 할 수 없었지만, 해방 후의 국민상을 상정하고 자립적ㆍ자율적 인간을 형성하려 하였다. 그런데 3ㆍ1운동 후에는 제1차 세계대전의 대량살상과 대량파괴에 대한 비판에서 출현한 사회유기체론이 유행하여 자립ㆍ자율과 아울러 조화와 협동의 정신을 갖춘 인간을 육성하려 하였다. 이상적 국민을 육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국민 만들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대한제국기에는 단체와 교육과 언론을 통한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는 교육과 출판과 언론을 통한 새로운의 인간의 형성을 위한 문화운동이 전개되었다. 이의 일환으로 신문화수립론ㆍ민족개조론과 같은 문화운동론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개조를 목표로 한 『소년』, 『청년』, 『신여성』, 『신여자』, 『농민』, 『어린이』, 『신인간』, 『신민』 등의 잡지가 발간되었다. 아울러 청년운동, 여성운동, 소년운동, 학생운동, 농민운동, 노동운동과 같은 부문운동이 전개되었다.

목차

I. 머리말
 II. ‘국민’ 의식의 형성과 확산
 III. ‘국민’의 권리 의식의 성장
 IV. ‘국민상’의 형성
 V. ‘국민 만들기’ 운동의 전개
 VI.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규태 Cho, Kyu Tae.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