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D 프린팅 기법과 도자기법 비교를 통한 적층이미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cumulative Form by Comparison of 3D Printing and Ceramic Methods

정진원, 안성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architecture is the experimental stage of varied & diversified construction material. The evolution of the technology and science introduce new material as a constructible resource. Consequently,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a setting for test and application ground for new material, which was impossible or inaccessible to building environment in relatively near past. Among these resources, ceramic products especially used to emphasize the natural characteristic by its sun-dried manufacturing procedure, sustainability, strong resiliency, and enduring application history as a building material. These products also supplement the lack of emotional feeling from modern society These merits of ceramic products by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was not adapted to modern architecture to meet the efficient construction cost and time management. As a result, the Brick products which survived as contemporary architecture material have to be baked at high temperature and dried at relatively short term of period to meet the boundary of the project budget. In these research, the new ceramic products; adobe clay wall, is tested and proposed as a supplement, and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brick. The new concept and trial will be able to replace the current dry-wall which broadly used in the man made environment.

한국어

현대도자공예는 기(器)에 국한된 의미로 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1950년대 Peter Voulkos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조형적 표현이 시작된 이래 도자공예는 그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왔다. 우리나라 전통도자공예의 역사를 살펴볼 때 이미 회화와 글이 어우러진 시대의 종합예술로서 다양한 영역을 포괄해왔다. 한국의 도자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 그리고 역사적 사실과 함께 많은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확정성과 포용력은 표현에 있어 이미 순수 조형분야를 아우르고 있으며 건축도자, 환경도자 등 새로운 영역의 확장을 이루어 내고 있다. 실용이라는 공예적 목적과 함께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는 도자표현의 다양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도자공예는 다양하고 새로운 표현기법을 발전시켜왔으며 3D 프린팅으로 대변되는 신속조형기술(Rapid Prototyping)역시 적용대상 중 하나이다. 신속조형기술은 CAAD 및 다양한 3D Program자료를 실물형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하여주며, 도자공예작품 제작 시 작품의 기초모델링부터 세부의 정교한 부분을 사전 제작하여 비교하기에 유용한 방식이다. 도자공예부분에서는 아직까지 광범위한 응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직접적이고 주된 활용의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그러므로 기술․디자인적 진보에 대비한 보다 적극적인 사전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3D프린팅기법과 Accumulation 방식을 응용하여 제작한 도자공예의 결과물을 상호비교․분석하였다. 도자공예작품의 결과물은 창작이라는 부분에서 새로운 형식적 제안이 가능한 시각결과물을 도출하였으며, 3D프린팅(Additive manufacturing)으로 제작된 작품의 경우 자체적인 형태의 응용가능성과 함께, 표면에 나타나는 제작의 흔적은 미적으로 응용가능성 충분하였다. 이러한 제작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흔적은 Digital Craftmanship과 수공예적가치의 공통분모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평면 패턴의 제작이 용이하여 향 후 건축도자제품에 적용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Ⅱ. 본론
  1. 신속조형기술의 고찰
  2. 신속조형기술의 종류 및 특징
  3. 신속조형기술의 활용
 Ⅲ. 적층 이미지 조형
  1. 적층의 개념
  2. Hand Building을 통한 도자적층이미지 표현
  3. 3D프린팅을 이용한 적층이미지 표현
  4. 소결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진원 Jin-Won Chung. 국민대학교 도자공예학과 교수
  • 안성모 Seong-mo Ahn. 국민대학교 공간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