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문학관 상설 전시실 조성 방안 연구 - 기형도문학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Planning Permanent Exhibition Rooms for Local Literary Museums - Centered on the Gi Hyeongdo literary museum

박덕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i Hyeongdo(1960-1989) lived in Gwangmyeong City, Gyeonggi Province from early childhood until his death at the age of 29. He left behind a small number of works including The Black Leaf in My Mouth, a collection which made him one of the public’s best-loved poets. The Gi Hyeong-do Literary Museum’s foundation ceremony was held in 2016 and the Museum completed in one year and five months. This paper offers ideas and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rooms in Literature Museums, based on my own experience with the Gi Hyeongdo Literary Museum where I made suggestions bot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xhibition room and for th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the exhibit items. I implemented two major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the Museum’s exhibition room. One direction reflected the fact that the poet died very young, and that the poet’s poems thematize the anguish of youth and romance. Accordingly, the central images of the Museum were coordinated to reflect the ‘two sides of youth’, or the ‘ambivalence of youth’: emotion/intellect, passion/solitude, direction/chaos, life/death, and other binarisms, with the intent of presenting them both in opposition and in harmony. The other direction was to create a special experience-enhancing effect using images from the poet’s most well-known works, “Fog” and “Empty House”. The exhibition space is divided into three zones. Zone 1 allows the poet’s entire life to be view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 a time line, personal artifacts, and a display of his literary works. Zone 2 divides the poet’s literary background into three periods: Boyhood, Adolescence, and Adult Literary Activity. Each period has its own “corridor” located between Zones 1 and 3. “Boyhood” is represented in the “Fog”-themed corridor, “Adolescence” between “Fog” and “Empty House”-themed corridors, and “Adult Literary Activity” between “Empty House” and “Sympathetic Identification” (Empathy)-themed corridors, respectively. Zone 3 covers the poet’s life and literature through a “Fog” theme, “Empty House” theme, and “Sympathetic Identification” theme. In addition, each ‘zone’ is attached with an explanation to help Museum visitors. Most domestic literary museums today are constructed and maintained without resolving such contradictions as: 1) the exclusion of professional opinions from the planning phases of the construction, and 2)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a consistent context through the various stages of design, building construction, exhibition room composition and opening ceremony. The Gi Hyeongdo Literary Museum was also completed and opened under similar administrative limits. As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literary museums are almost entirely structural in nature, this paper explores strategies to achieve optimal effectiveness under the given conditions.

한국어

기형도(1960~1989)는 경기도 광명에서 유년 시절부터 작고할 때까지 살다29세에 작고한 시인으로 유고시집 『입속의 검은 잎』을 비롯한 많지 않은 작품으로 문학 대중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아왔다. 이를 기리기 위한 기형도문학관이 2016년 기공식 이후 1년 5개월에 걸친 공사를 거쳐 완공되고 2017 년 11월 10일 개관되었다. 이 논문은 기형도문학관의 개관 과정에서 주로전시실 조성 방향을 제안하고 전시물의 구성과 배치 등에 직접 관여한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문학관의 건립시 상설 전시실 조성의 방향과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기형도문학관 상설 전시실의 조성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설정했다. 하나는 기형도가 29세에 요절한 점, 그의 시가 청춘의 고뇌와 낭만의 세계를 드러낸 점 등에 착안해 문학관의 중심 이미지를 ‘청춘’이라는 것에 두었다. 이에 따라 ‘청춘’이 지니는 의미의 서로 다른 양면적 특징 즉 감성/지성, 열정/고독, 지향/혼돈, 삶/죽음 등의 가치를 조화롭게 구현하게 했다. 또하나는 기형도의 문학과 생애 전반을 모두 보여주되 특별히 대표되는 작품을 통해서 그 의미를 뚜렷이 하려 했다. 즉 다른 무엇보다 대표작 「안개」와「빈집」 두 편에 대해서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구성이 이 문학관의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을 거라는 판단이었다. 전시실 내 구역은 3개 구역을 나누되 각 구역간의 연계성을 강화했다. 1 구역은 생애 전반을 연대기・유품・유작을 평면적으로 관람할 수 있게 했다. 2구역은 문학적 배경으로서의 각 시기를 성장기・청춘기・문단 활동기등으로 나누어 ‘성장기’를 1구역과 3구역의 ‘안개’ 테마 공간 사이에, ‘청춘기’를 ‘안개’ 테마 공간과 ‘빈집’ 테마 공간 사이에, 문단 활동기를 ‘빈집’ 테마 공간과 공감 테마 공간 사이에 각각 복도식으로 배치했다. 3구역은 생애와 문학의 특징을 ‘안개’ 테마, ‘빈집’ 테마, 공감 테마 등으로 잡고각 1개씩의 공간으로 설정했다. 또한 각 공간마다 ‘존 네임(zone name)’을 부여하고 각 공간에 대한 설명을 달아 관람객들의 편의를 돕게 했다. 국내 문학관은 대개 건립 계획 단계에서 문학관에 대한 전문적 견해가 배제된다는 점, 설계와 건축 시공, 전시실 구성, 개관 행사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맥락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 등의 모순을 안고 건립되고 유지된다. 기형도문학관 역시 이와 유사한 행정적 한계 위에 완공되고 개관되었다. 문학관 건립에 개입되는 이러한 한계와 모순은 거의 구조적인 것인바 이 논문은같은 조건에서 어떻게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가를 모색하고 있다.

목차

국문 요약
 1. 연구목적
 2. 문학관 건립과 상설 전시실의 조성 배경
 3. 상설 전시실의 정체성 수립과 구현 방향
 4. 구역별 세부 내용과 주요 문안
 5. 남은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덕규 Park Dukkyu. 단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