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다우트(Doubt)』의 서사구조 연구 - 의심과 확신의 갈등 요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Movie Doubt - Revolve around conflicts of doubts and certainties

이은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ovie Doubt tells the story of a nun and a priest in the 1960s. Mother Teresa often disagrees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de and her personality, education, and values. Classical narratives and anti-war points are heightened, sparking an inner conflict. The author creates a meticulous narrative structure and presents a fresh narrative of the human mind. The rivalry between a nun and a bride takes place in rivalry. This is a scapegoat mechanism. She says she cares about school and students but is a hypocrite who practices violence on students and colleagues. He is especially competitive with the bride and bullies her to chase her out. The nun looks for authority by suspicious of the bride and making her a scapegoat. A nun is a man full of violence and desire to remove a rival bride. She also shows her desire for desire and the downfall of faith. The ending of the film satirizes the images of self-destruction due to suspicion. What is unique is the repeated insertion of preachments, wind, seasons, places, and dolls. This configuration shows the flow of consciousness. The wind continues to indicate the process of doubt and changes in psychology. It also lists similar images along with a variety of episodes to show time continuity and change. The film internates an interesting development of the incident and introduces an insight into self-demotion. The author thought seriously about doubts and described the nature of desire in a narrative form.

한국어

영화 『다우트』는 1960년대 천주교 교구 학교를 배경으로 가치관이 다른교장 수녀와 신부의 갈등을 다룬 이야기다. 목적지향적인 원장 수녀가 신부를 마주하며 끊임없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다 결정적 순간에 해결로 넘어가는 궤도는 드라마틱한 곡선을 이룬다. 고전적 내러티브에 반전 포인트를 배치하여 흥미를 고조시키고, 비선형적인 대안적 내러티브를 병합하여 인물의 내면세계를 낯설게 제시하면서 균형적인 서사층위를 구축하였다. 원장 수녀와 신부의 대결 구도는 경쟁관계에서 벌어지는 희생양 메커니즘으로 해명된다. 그녀는 학교를 위한다는 성스러움을 내세워 플린 신부에게 폭력을 가하는데 이는 자신의 권위를 위해 경쟁자인 신부를 희생양으로만들어 차이 소멸을 이루려는 가짜 욕망으로 폭력과 성스러움의 이중성을내포한다. 또한 욕망과 신념의 몰락이라는 역설적 결말로써 플린 신부와 짝패가 된 자기 행위의 희생양, 자멸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그렸다. 특기할 점은 문학적 장치인 삽화와 객관적 상관물, 소도구를 반복적으로끼워 넣는 삽화식 구성으로 관념적인 의식의 흐름을 구체화한 것이다. ‘바람’은 의심의 과정과 심리 변화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며 유사 이미지와 다양한 에피소드를 배치(配置), 환치(換置), 복치(復置)하여 ‘시간의 연속성과 변화’ 라는 의미심장함을 정교하게 엮었다. 이는 사건의 흥미로운 진전(인물 외부)과 자기 환멸의 반성적 성찰(인물 내부)을 유도하려는 작가(감독)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의심’에 대한 물음을 통해 인간의 욕망 충족과 실체를 입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며
 2. 고전적-대안적 내러티브의 복합
  1) 아이러니컬한 3장 구조
  2) 배치, 환치, 복치의 회귀적 순환구조
 3. 욕망의 간접화와 희생양 메커니즘
  1) 권위주의와 편견에서 비롯된 의심-알리이시스 원장 수녀
  2) 자유와 개성을 존중하는 변화의 물결-플린 신부
 4. 나오며 : 근거 없는 의심에서 비롯된 자멸의 과정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하 Lee Eunha.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