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연구

원문정보

A Contrastive Study between the Passive Form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For Korean Learners of Mongolian]

김기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4-3, 91-112.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composition, meaning, and function of the passive form(被動) of the modern-day Mongolian language, and analyzes it by comparing with the passive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assive form of the contemporary Mongoli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indicates the activity that is performed, but not the performer of the activity. Both languages have similar features in that the active forms of sentences are composed of endings of words, such as “-д/т” (Mongolian), “-ege[-에게]”(to whom-), “-e euhaeseo[-에 의해서]”(by whom) (Korean). The passive forms of contemporary Mongolian and Korean languages are generally similar in terms of usage. Particularly, the object of active sentences become a subject, and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s changes into an adverb of passive sentences. The object of active sentences becomes the subject of passive sentences, combined with a subjective proposition “-yi/ga[-이/가]”(Korean), “∅”(Mongolian), and the subject of passive sentences becomes an adverb, combined with “-ege[-에게]”(to whom-), “-e euhaeseo[-에 의해서]”(by whom) (Korean), and “-д/т” (Mongolian). The Korean language’s passive form can be relatively categorized into three kinds: (1) “language passive form” — here the passive forms of sentences are formed by using words like “doeda[되다]” and “danghada [당하다]”. (2) “derivative passive form” — here the passive forms of sentences are formed by adding a derivative ending of a word, such as “-yi-[-이-],” “-hi-[-히-],” “-ri-[-리-],” and “-gi-[-기-]” to the end of a verb. Additionally, the object changes into a subject and the subject into a verb like “-ege[-에게],” and “-e euhaeseo[-에 의해서]”. (3) “syntactic passive form” — the passive sentences are formed by adding syntactic compositional forms, such as “-ah/eo jida[-아/어 지다]” and “-ge doeda[게 되다]” to the end of a verb. Meanwhile, the passive sentences of modern-day Mongolian language are in general derivative passive form, which expresses passivity by connecting passive affixes like “-гд,” “-д,” and “-т” to a word stem. Therefore, the Mongolian language differs from the Korean language in that it is not that diverse.(Dankook Univ.)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몽골어의 ‘피동(被動, passive)’에 대한 유형 및 구성, 그의 의미, 기능 등을 정리해 살펴보고, 이후 이를 기준으로 여기에 대응 가능한 한국어 ‘피동’과 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대조 분석을 통해 이들이 서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며,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담화, 문맥 등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는 피동의 올바른 사용법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 등을 함께 제시해 보았다.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은 행위를 누가 수행했는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어떤 행위가) 수행되었는지를 가리키며, 능동 행 위주는 여·처격어미 ‘-д/т’(몽골어), ‘-에게, -에 의해(서)’(한국어)로 구성된다는 유사점을 갖는다. 한편, 한국어의 피동(피동 표현, 피동법) 은 일반적으로 1)‘되다’, ‘당하다’와 같은 어휘를 써서 피동문을 만드 는 방식인 ‘어휘적 피동’, 2)‘-이-, -히-, -리-, -기-’와 같은 파생접미사를 동사 뒤에 붙이고, 목적어를 주어로 그리고 주어를 ‘-에게, -에 의해 (서)’ 형태의 부사(부사어)로 바꾸는 방식인 ‘파생적 피동’, 3)‘-아/어지 다, -게 되다’와 같은 통사적 구성 형태를 동사 뒤에 붙여서 피동문을 만드는 방식인 ‘통사적 피동’등으로 비교적 세분화되어 있는 반면에 현대몽골어의 피동은 ‘-гд, -д, -т’와 같은 형태의 피동 접사를 동사의 어간에 연결해 피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파생적 피동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지 못하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현대몽골어의 피동
 3.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피동 대조
  3.1. 현대몽골어의 피동(파생적 피동)과 한국어의 어휘적 피동과의 대조
  3.2. 현대몽골어의 피동(파생적 피동)과 한국어의 파생적 피동과의 대조
  3.3. 현대몽골어의 피동(파생적 피동)과 한국어의 통사적 피동과의 대조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기성 Kim Kisung.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