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국 한글학교의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Resource Development targeted to Preschoolers for Korean Schools in the U. S

김경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4-3, 51-90. This study examines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demand for language teaching resources. 138 Korean saturda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Korean school teachers answered 25 survey questions through on-line. Research findings are below. First, most femal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re handling preschool Korean learners most. Second, most teaching materials whereas the use of Korean textbook developed by Korean government is secondary. Third, there exist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experience, length of residency period in the U.S and other variables. Fourth, the most demanded resources are for teaching materials that can be used promptly and efficiently in class. There is little research materials especially for preschool Korean learners. This study implies the direction to take when developing language materials for the preschool learners at Korean saturday schools in the U.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한국어

본고는 취학 전 아동 학습자들이 미국의 한글학교에서 어떤 교육 과정을 통해 한국어문화를 접하고 있는지에 대해 실태를 파악하고, 어떤 교육 내용과 구성이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연구이다. 미국의 한글학교에서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심층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학교에서 취학 전 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한국어 교육 경험, 유아 교육 전공 등의 변인 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봉사하는 마음이나,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 등의 이유로 반을 맡아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미국의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교사의 미국에서의 거주 기간과 활동지 사용의 숫자 그리고 인터넷 교육 자료 활용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만3세부터 6세까지 재외동포 아동용 한국어 교육 자료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답변과 실제 한국어를 가르칠 때 사용하는 자료라고 답한 변인에 대한 상관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언어 영역과 언어 기능과의 관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본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 보면 한글학교 교사들은 대부분 아동 학습자라는 특성을 이해한 흥미로운 교육자료, 수업에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가정 학습과도 연계될 수 있는 자료를 절실히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하는 취학 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에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4.1. 기초 분석
  4.2. 교육 자료 활용과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
  4.3 교육 자료 내용 분석
 5. 결론 및 방향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경령 Kim Kyungryung. 한국어문화연구소 연구 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