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효인성 함양을 위한 태교와 음악

원문정보

A parental care and music for improving filial piety personality

양승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parental care is the beginning of human education. Children’s lifelong personality is formed in the period of maternity, so according to a parental care, parents will pass on their children the loved personality or hated personality. A good personality comes from the parental right mind. In modern times, there are many people to blame the abrupt world about that. In these days, people are emphasising a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y are worried about what to teach, who to teach a personality education, which personality education to be taught. The core of parental care is personality,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answer is in the parental care. A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gin from family relationship and continue to be the interaction with individuals and others. It will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when the family faces with each other for a long time and a personality education is formed by the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Music is the language that is accepted by way of body, and filial piety is the language that is expressed by way of body. Music is the important factor that raises sensitivity and helps the emotional cultivation. In addition, it awakens filial affection and raises the right personality and leads the life that practices the filial behavior. The emotional function that music brings has an influence on the very filial piety personality

한국어

태교는 인간 교육의 시작이다. 자녀의 평생 성품이 태중에서 형성되므로 부모의 태교 에 따라 사랑을 받을 성품과 미움 받을 성품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다. 좋은 성품은 부모의 바른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다. 현대는 험악한 세상을 탓하는 사람이 많다. 인성 교육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나 누가 어떤 인성교육을 하는지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 이지를 걱정한다. 태교의 핵심은 인성이기에 정답은 태교에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인성교육은 가 족관계에서부터 시작하여 개인과 타인과의 관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가족 끼리 오랫동안 서로 부대끼며 서로에 대한 공감과 배려로 인격적인 만남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인 교육이 될 수 있다. 음악은 몸으로 받아들이는 언어이며 효는 몸으로 표현하는 언어이다. 음악 그 자체로 서 감수성을 키워주며 정서함양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 서 바른 인성을 키우며 효심을 일깨워 효행을 실천하는 삶으로 이끌어 나간다. 음악이 불러일으키는 정서적 기능이 효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효의의미와 태교의 개념
  1. 효의 의미
  2. 태교의 개념
  3. 태교를 통한 효 인성함양
 III. 음악이 효 인성에 미치는 영향
  1. 음악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2. 음악을 통한 효 인성 함양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승춘 Seung Chun Yang. 성산 효 대학원 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