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국인 유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어 호칭과 문화와의 상관성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ddress forms’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e Awareness of Foreign Students

박미숙, 오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perception of ‘address forms’ used to target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school in Kore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ddress forms’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e awareness of foreign students. For the study, w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eople who is the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re derived as follows: the four conclusions. First, foreign students are trying to learn quickly and easily address forms of Korea i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different with their home country. Secondly, this i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country, but foreign students are a part of changing this title was difficult, depending on status, age, gender, occupation and Korean. Third, they were large differences are recognized, address forms in the actual discourse situation is different with address form cla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y learn address forms of Korean with looking Koreans are at doing that, they saw the Koreans are doing in the actual discourse situation. We ca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dress forms and Korean culture. First, Korea’s address forms have a keen relationship with Korea’s vertical and hierarchical culture. Second, address forms has implied a lot of the culture of Korea that many people wish to be treated with respect. Third, due to the tendency of emphasizing community spirit, Koreans frequently use the word us. Fourth, Koreans use words that express both respect and a sense of kinship, such as aunt or uncle, even to someone whom they have never met before. This shows that Korean culture favors a neighbor-like atmosphere of wanting to stay close to other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oreign students recognize that they address forms of Korea and Korean culture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many students from diverse countrie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담화상황에 서 사용되는 호칭어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의 호칭어는 한국문화와 어 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의 대학원에 재 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유학생 들이 한국의 호칭어에 대한 인식과 호칭어가 한국문화와 상관관계에 대한 결론을 다음 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한국의 호칭어에 대한 인식은 첫째, 모국과 다른 한국의 호칭어를 쉽고 빠르게 익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상황에 따른 호칭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외 국인 유학생들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한국어의 지위, 연령, 성별, 직업에 따 라 호칭이 바뀌는 부분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배운 호칭어와 실제 담화상황에서의 호칭어는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한국어의 호칭어에 대 한 습득은 실제적인 담화상황에서 한국인이 행하는 것을 보면서 배우고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의 호칭어가 문화와 상관관계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첫째, 한 국의 호칭어는 한국의 수직적이고 서열적인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호칭어를 통하여 담화상황에서의 사회적 서열순위를 알 수 있다. 둘째, 호칭어에는 많은 사람들이 대접받 고 싶어 하는 한국의 문화가 많이 내포되어 있다. 셋째, 한국 문화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고 있어, 한국 사람들은 ‘우리’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사람들은 낯선 관계의 호칭에서 ‘이모’와 ‘삼촌’ 등 상대방을 존중하면서도 격 이 없고 친밀감 있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문화와 한국어의 호칭어가 밀접하게 관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나라의 학생들을 중 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한국 호칭어의 개념과 유형
  2. 한국의 유학생 현황
 III.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IV. 호칭어의 종류에 따른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1. 이름 호칭
  2. 대명사 호칭
  3. 가족 호칭
  4. 간접 이름 호칭
  5. 낯선 관계 호칭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미숙 Park, Mi-Sook.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전공 박사수료
  • 오영훈 OH, Young Hun.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