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f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Korean Wave in China
초록
영어
Currently Hallyu is welcomed not only in Asia but also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although these countries, such as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ave ver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Korea, Hallyu shows very successful performance there. However, success of Hallyu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n excellence in Korean ethnic and cultural superiority. This idea is not only incorrect but also very dangerous. The Hallyu was ironically started from the success of very ordinary product of popular culture industry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North Korean films from 1960s to 1970s earned huge popularity in China while there were no such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t proves the cultural contents which were produced by Korean peninsula gained popularity at different time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suggests there are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success of Hallyu.
한국어
현재 한류는 아시아를 넘어 현대대중문화를 선도하는 미국과 유럽에까지 확대되 고 있다. 특히 중동과 북아프리카 등 한국과 전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지역에 서도 한류에 대한 호응이 일어나고 있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류의 성공이 민족적 우수성에 기인했다거나 문화적 우월성으로 해석하는 오류는 위험하 다. 한류의 시작은 당초 해외판매를 고려하지 않은 국내수요기반의 영상 콘텐츠가 중국과 일본 등 같은 문화권의 주변국에서 호응받기 시작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과거 1960∼1970년대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단절된 시기 중국에서 북한의 영화가 큰 호응을 불러왔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각기 다른 시기에 한 반도의 문화콘텐츠가 중국에서 호응을 얻은 사실은 현재 한류의 올바른 인식과 지속 적인 발전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류의 성공배경에는 시대적, 환경적 영향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입장에서 바라본 한반도문화
1. 한중 간의 역사적·정치적 배경에 의한 한국문화 수용의 영향
2. 중국의 근대사 콤플렉스와 동양문화의 자부심
Ⅲ. 중국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의 상황적 배경
1. 한중수교 직후 중국의 한국 문화 수용에 대한 입장
2. 1990년대 중국 대중문화 시장 환경의 변화
3. 1997년 홍콩 반환에 따른 대중문화 공급의 공백
Ⅳ. 1970년대 중국의 북한 영화 수용의 상황적 배경
1. 북한의 빠른 전후 복구와 문화예술에 대한 정책적인 육성
2. 1970년대 북한 영화의 중국 문화시장 장악
3. 혼란기 중국의 문화적 공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