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Korean Cultural Goods Image on Country Image in China and Japan
초록
영어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Korean cultural goods image on the image of Korea in viewpoints of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sed the data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Japanese students in their country. 352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lso,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is estim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ia the AMOS 17.0 softwa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V drama and movie image exert no significant effects on country image. Second, performance and entertainer image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ountry image. Third, tour image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ountry image. Fourth, cartoon and animation image exert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ountry image.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상품 이미지가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데이터는 한국에 유학 중인 중국인 대학생을 통해 수집되었고 일본 데이터는 일본 현지의 대학생을 통해 수집되었다. 유효한 352부의 설문이 수집되었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AMOS 17.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드라마·영화 이미지는 국가 이미지 형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둘째, 공연·연예인 이미지는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관광 이미지도 국가 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만화·애니메이 션 이미지는 국가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국가 이미지와 원산지 효과
2. 문화상품 이미지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자료의 수집 및 조작적 정의
Ⅳ.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의 일반적 사항
2. 측정모델의 평가와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 연구가설의 검정 결과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