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business professors, business education contents and business education environment) affect the performance of busines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to verify whether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 for business education mediates between business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on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ex, grade) of respon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methods using survey method and questionnaires were applied. As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289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of the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284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except for five questionnaires with some missing conte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used in the hypothesis was analyzed, follow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business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business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and the influence of business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The positive effect level was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administration professors > characteristics of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contents >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econ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for confirming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has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education by mediating student 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business administration mediated by students'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for confirming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business edu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ere was no adjustment effect according to gender,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contents differ according to grade, the effect of the lower grades o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edu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grad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ducation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administration professor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environmen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교육 특성(경영학 교수, 경영학 교육내용 및 경영학 교육환경)이 경영학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으며, 또한 경영학 수강학생의 만족도가 경영학 교육 특성과 경영학 교육성과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어서 경영학 교육 특성이 경영학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응답자의 특성(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과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을 적용하였 다. 설문대상자는 수도권 대학의 경영학과 재학생으로서 이들에게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기재내용이 일부 누락된 5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84부를 연구자료로 활 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에서 사용된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이어서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학 교육 특성이 경영학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경영학 교육 특성은 경영학 교육성과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학 교육 특성 중 경영학 교 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는 경영학 교수 특성 > 경영학 교육내용 특성 > 경영학 교 육환경 특성 순이었다. 둘째, 경영학 교육 특성이 수강학생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경영학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매개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경영학 교육 특성은 수강학생 만족도에 매개되어 경 영학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학 교육 특성이 경영학 교육성과 간의 영향관계가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영학 교육 내용 특성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학년보다 저학년이 경영학 교육내용 특성에 따라 경영학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경영학 교수 특성과 경영학 교육환 경 특성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의 검토
1. 선행연구의 내용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점
III. 연구설계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설정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IV. 실증분석 결과
1. 응답자의 특성 및 기술통계량
2.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3. 상관관계분석
4. 가설의 검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