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f the Commemoration of Social Loss after a Collective Traumatic Event - Focused on Sewol Ferry Disaster in Korea -

원문정보

집단 트라우마 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상실 이후의 추모 반응 연구 -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

Hee Jeong Moon, Hye Sun Joo, Soo Sang Lee, Hyun Nie Ah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emoration responses to a social loss after a collective traumatic event using the case of commemoration services fo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the commemoration responses to the accident between its first and second anniversary. For this purpose, newspaper articles regarding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collected to draw 25 most frequent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method. The most crucial topic was found to be “shared collective memories about loss”. The major topics on its first anniversary were related to the memory of the victims, while the topics on the discovery of the truth about the accident increased relatively more during the second anniversar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one can feel free to share loss-related stories with others is critical for fast recovery from social losses.

한국어

본 연구는 트라우마 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상실을 경험한 이후 대중의 추모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적 최근에 발생한 대규모 사회적 상실인 세월호 사건의 추모 반응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기념일 반응 연구의 일환으로 사건 1,2주기에 추모 반응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기 위해 세월호 추모 행사와 관련된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토픽 모델링 방법을 통해 기사에서 가장 빈번히 드러나는 25개의 토픽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월호 추모 행사에서 등장하는 가장 주요한 토픽은 ‘상실에 대한 집단 기억의 공유’였으며, 사건 발생 이후 2년 동안 토픽의 등장 비율이 가장 높았던 달은 사건 1,2주기가 있었던 달이었다. 또한 사건 1주기에는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관련된 주제가 주로 등장했다면 2주기에는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토픽의 등장 비율이 증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상실 이후의 회복에 있어 상실과 관련된 이야기를 타인과 안전하게 드러내고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이 드러났으며, 특히 사건과 관련된 기념일에 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분석 방법
  2. 분석 대상
  3. 분석 절차
 Ⅲ. 연구결과
  1. 전체 토픽 분포
  2. 월별 토픽 분포
  3. 1, 2주기 토픽 분포
 Ⅳ.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ee Jeong Moon 문희정. Department of Psychology,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Korea
  • Hye Sun Joo 주혜선. Department of Psychology, Ewha Womans University
  • Soo Sang Lee 이수상. Department of Library, Archive and Informatio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Hyun Nie Ahn 안현의. Department of Psychology,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