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고도성장기 ‘핵=원자력’의 표상과 ‘피폭’의 기억

원문정보

The Representation of Nuclear Pover and the Memory of Exposure in Post-War Japan

서동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ay in which the government’s nuclear power policy became institutionalized as a result of public consent in post-war Japan. The investigation was based on the following preconditions: the memory of prior exposure to the effects of nuclear energy was not a valid restriction factor when it came to accepting the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acceptance of which is viewed by Japanese people to depend on the personal opinion of the subject. Most of all, the Japanese were found to be convinced that nuclear power would not be misused for military purposes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exposure. The research established that the memory of prior exposure contributed to the discourse relating to the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and that it enabled subjects to accept the peaceful uses of atomic energy.

한국어

이 글은 전후 일본이 피폭체험에도 불구하고 원전대국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을 대중인식의 차원에서 살펴보고 있다. 피폭의 집합적 기억에 의해 지탱되는 핵=원자력에 대한 전후 일본인들의 뿌리 깊은 부정적 인식과 감정에도 불구하고, 고도성장기를 통해 ‘국책’의 차원에서 추진된 원자력 개발은 어떤 결정적인 도전에도 직면하지 않았다. 오히려 핵=원자력의 ‘군사적 이용’과 구분되는 ‘평화적 이용’의 가능성은 고도성장기를 통해 광범위하게 지지받았다. 즉, 많은 경우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은 ‘문명의 필연’이고, 군사적 목적과 분리된 원자력은 ‘생활과 산업 상의 혁신’을 가져다줄 새로운 에너지로 받아들여졌다. 이 시기 원자력에 대한 전후 일본인들의 인식에서 특징적인 것은 ‘평화이용(원전)’과 ‘군사이용(폭탄)’을 철저하게 구분하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 일본인들은 두 가지를 완전히 별도의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았다. 즉, 1950-60년대의 원자력 군사이용과 구분되는 평화이용은 그 원천(기원) 아니라 원자력의 목적과 용도의 수준에서 구분되는 수준에서 인식되고 있었다. 여기에 일본은 원자력의 군사이용이 가져오는 폐해와 위험을 잘 알고 있기에 원자력의 평화이용을 실현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주체가 될 수 있다는 담론이 형성되면서 원자력 개발을 위한 대중적 동의의 심리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전후일본의 원자력개발사
 3. 고도성장기 원자력 열풍
 4. ‘피폭’의 대중심리
 5.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서동주 Seo, Dong Ju.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