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복종과 저항 :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애국심에 대한 일고찰

원문정보

Obedience and Resistance: A Study of Uchimura Kanzo's Patiotism

朴銀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Japan as we know it today is the result of the shock of Western imperialism which opened the country to foreign intercourse. Uchimura Kanzo lived at a time when the country attained national unification as a Tenno system state. Japan - which was an object of patriotism for Uchimura - promoted a religious authority referred to as the Tenno system that was created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大日本帝国憲法, DaiNippon Teikoku Kenpo) and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教育勅語, Kyoiku Chokugo). The system required the loyalty and obedience of a ‘subject (臣民)’. In other words, under the Tenno system Japanese people (namely 'subjects') were locked in a framework of ‘implicit obedience’ as a national structure, in which loyalty to the nation meant unconditional obedience. Rather than unconditional loyalty, Uchimura viewed the responsibility of a Christian to the state as one based on obedience or resistance according to conscience. However, limited by the barrier of nationalism, Uchimura’s patriotism prevented him from crossing the races barrier, as should be obvious from his Korean recognition.

한국어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가 살았던 시대는 근대 일본이 서구 제국주의의 충격을 받고 개국한 이래 천황제국가로서 국가적 통일을 달성한 시기로, 그에게 애국의 대상이었던 국가는 대일본제국헌법과 교육칙어를 통해 구축된 천황제라는 종교적 권위를 전면에 내세우고 ‘신민’의 충성과 복종을 고취하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곧 천황제 국가체제에 대한 ‘절대적 복종’의 틀에 갇혀 국가에 대한 충성이 무조건적인 복종을 의미한다고 여겨졌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치무라는 국가에 대한 기독자로서의 책임은 양심에 따른 복종과 저항, 곧 무조건적인 충성이 아니라 비판적 충성의 자세를 가지는 것에 있다고 주장했다. 우치무라의 이와 같은 자세는 그의 애국관 혹은 충성관이 독특한 지위를 차지하게 하는 지점이다. 그러나 타민족 조선인식에서도 드러났듯이 우치무라의 애국심은 자국중심주의의 장벽을 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애국의 종류와 방법
 3. 복종과 저항
 4. 애국심의 한계 - 조선 인식
 5.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朴銀瑛 박은영.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