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8세기 경상지역의 『보권염불문』 간행과 수록 가사 향유의 문화적 의미

원문정보

A Study on Publication of 『Bogwunnyumbulmun(普勸念佛門)』 in Kyeongsang Area and Cultural Meaning of Gasa Works Enjoyment

최형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Gasa works including 『Bogwunnyumbulmun(普勸念佛門)』. 『Bogwunnyumbulmun(普勸念佛門)』 trended in Kyeongsang Area, and published verious versions. Four temples(Youngmun-temple, Sudo-temple, Dongwha-temple, Haein-temple) where published a 『Bogwunnyumbulmun(普勸念佛門)』 different version, desired to being active in propagating in the local community. Buddist 3 Gasa, there are , , , were distributed in the process. So, these Gasa works were used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bout Buddism in different way. Publication of 『Bogwunnyumbulmun(普勸念佛門)』 and trend of Gasa works were a sign of comunication of temple and local community at 18th century.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 후기 경상지역에서 간행된 『보권염불문』을 대상으로 이 원전이 간행된 용문사, 수도사, 동화사, 해인사를 주목하고, 이 원전에 수록된 <서왕가>, <인과문>, <회심가> 향유의 문화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후기 불교는 전란으로 무너진 사찰을 재건하고, 지역사회에서 勢를 확장하기 위해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포교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사찰을 재건하고, 각종 의례나 불사를 행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경제력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경제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한 포교 활동이 필수적이었다. 이들 네 사찰이 위치한 경상지역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영향이 강하였던 곳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의 분위기 속에서 사찰의 세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관심이나 기호에 부합하는 활동이 필수적이었으며, 이러한 가운데 가사작품이 수록된 『보권염불문』이 유통된 것이다. 또한 조선후기 중요하게 대두되었던 법맥의식은 지역 사찰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이었으며, 각 사찰의 편양계를 중심으로 한 법맥의식이 이 원전의 유통에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 가운데 불교가사의 수록과 유통은 불교가 지역사회에서 대중들과 소통하기 위한 방편적 차원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아울러 지역 사찰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 원전에 수록된 가사작품들은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역 중심의 유통은 성리학적 영향력이 강하였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가사 세 작품의 지역적 유행은 당시 불교가 대중들과 소통하고, 이후 지역 사회의 가사 문학 향유를 더욱 다채롭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 문화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조선후기 불교계의 동향과 사찰의 운영
 3. 18세기 경상지역 사찰의 불사활동과 『보권염불문』 간행
 4. 『보권염불문』 수록 가사의 향유와 문화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형우 Choi, Hyung-woo.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