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영안위 홍주원의 『무하당유고』 출판기념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비교 검토

원문정보

A Comparison of the Various Editions of Muhadang yugo

장진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various editions of Muhadang yugo (無何遺稿, Posthumous Works of Muhadang), written by Hong Chuwŏn, King Sŏnjo’s son-in-law. Complete editions of the text exist in the Kyujanggak Library of Seoul University (seven books) and Yonsei University (six books) while Kookmin University owns an incomplete edition (two books). Firstly, an examination of each edition’s form and bibliography is as follows. All three editions are transcribed copies with a foreword written by Song Siyŏl in 1684. It is unknown which of these editions was transcribed first as their transcribers and dates of transcription are unspecified. The Kookmin University edition seems to be affiliated with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from the method of transcription and content. Hong Chuwŏn’s writings in P’ungsan sego (豊山世稿, Generational Works of the P’ungsan Hong Clan) also match the content in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demonstrating that the editions affiliated with this version were used by the latest generation of Hong Sŏkju’s household. Secondly, observing the structure of each edition shows each one has a different system of dividing the works into books since the original manuscript was not divided into volumes. As Muhadang yugo was never published, attempts to edit the works across generations produced different editions. All three also contain the same sequence of works, dividing them into categories based on poetic or discursive forms and chronologically arranging each work based on its year of creation under each category. Transcribed editions in later generations anthologized the works in the same sequence of the original manuscript as it had already been systematically edited. Traces of editing in the Kyujanggak and Yonsei University editions also show efforts later continued in preparing it for publication or producing a better edition. Despite most of the content matching in the Kyujanggak and Yonsei University * Yonsei Univ. 무하당유고(無何遺稿) 이본의 비교 검토 47 editions, the latter contains an additional three pieces of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one piece of five-character truncated verse, and an elegy, while the former contains two letters and an afterword. Finally, the conditions of the three editions’ works were compared. Although a summary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views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as superior to the Kyujanggak edition, the latter can be said to be superior in the content of the works and accuracy of transcription. However, a detailed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the original texts since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is correct in some places where the Kyujanggak edition is wrong. Moreover, by comparing the Kukmin University edition with the other two, we can identify inherent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 version affiliated with the Kyujanggak edition and the versions of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This comparative work is needed to determine the original texts of Hong Chuwŏn’s works. Comparing the editions of Muhadang yugo is necessary for verifying sources on literary research on Hong Chuwŏn and determining the original texts of his works. Furthermore, this work is meaningful in showing how late Chosŏn anthologies wer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한국어

본고는 선조의 부마였던 무하당 홍주원의 문집인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체제 및 내용상의 특징을 비교,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하당유고』는 현재 완질인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7책)과 연세대 소장본(6책), 그리고 결질인 국민대 소장본(2책)이 전하고 있다. 먼저 각 본의 형태 및 기본서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 본은 모두 필사본으로, 똑같이 1684년 송시열의 서문이 붙어 있다. 필사연도 및 필사자는 미상이며, 세 본의 선후관계도 알 수 없다. 국민대본은 필사 방식이나 작품 내용으로 볼 때 연세대본과 같은 계열의 이본이다. 한편 1824년 간행된 『풍산세고(豊山世稿)』에 수록된 무하당의 작품은 연세대본과 일치하는데, 이를 통해 연세대본 계열의 이본이 가장 후대까지 홍석주 집안에서 활용되던 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세 본의 체제상 특징을 검토하였다. 주목할 만한 것은 세 이본의 분책 방식이 각각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는 원고본에 권차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현상으로, 『무하당유고』가 간행에 이르지 못하고 여러 대에 걸쳐 재편집이 시도되면서 이본을 생성해 왔음을 보여준다. 작품의 배열 순서는 세 본이 동일한데, 그 순서는 시체․문체별 분류를 기본으로 하고 각 항목 내에서는 창작 연대에 따라 배열하는 방식이다. 원고본이 이미 체계적으로 편집을 마친 상태였기에 후대의 사본들도 동일한 순서에 따라 작품을 수록한 것이다. 한편 규장각본과 연세대본은 모두 교열의 흔적이 있는데, 이는 선본의 제작이나 간행의 추진을 위한 후속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완질인 규장각본과 연세대본의 수록 작품은 대부분 일치하는데, 연세대본에는 규장각본에 없는 칠언율시 3수와 오언절구 1수, 제문 1편이, 그리고 규장각본에는 연대본에 없는 제후(題後) 1편과 서(書) 2편이 실려 있다. 마지막으로 세 본의 작품 수록 양상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고전번역원 해제에서는 연세대본을 규장각본보다 더 선본(善本)으로 보고 있으나, 작품 내용과 필사의 정확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규장각본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연대본이 맞게 되어 있고 규장각본이 틀린 경우도 간혹 있으므로 원문 확정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 국민대본을 두 본과 대조해 보면 본래 연세대본 계열의 이본과 규장각본 계열 이본의 글자 출입이 있었던 곳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홍주원 작품의 원문 확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무하당유고』 이본 검토는 홍주원 문학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인하고 원문을 확정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나아가 이를 통해 조선후기 문집 전승의 한 양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각 본의 형태 및 서지사항
 3. 체제상 특징의 비교ㆍ검토
 4. 작품 수록 양상의 비교ㆍ검토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진엽 Jang, Jin-youp.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