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직역체 언해자료에 나타난 한문문법 영향 고찰 - <소학언해>의 명사화 어미 ‘-ㅁ/음’의 사용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Impact of Chinese Grammar on the Korean language in the Annotations of Chinese Classics with the Literal Translation Style - Centered around the use of a nominalized suffix ‘-ㅁ/음’ in <The Korean Annotation of ‘Sohak’>

하성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 translated version pertaining to near translation, based on the examination that the existent was too liberally translated. The fact that both works reflect a great deal of impact of the Chinese language remains true as both are the annotations of the same material. However, one can assure that the former must have been influenced more than the latter, as it strictly kept the near translation. Based on such a premi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xamples of the usage of the nominalized suffix ‘-ㅁ/음’in , in comparison to .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a much higher frequency of the nominalized suffix ‘-ㅁ/음’in literally translated , than in liberally translated . This seems to be caused by the tendency of the Chinese language to recognize the sentences with ‘V1-V2’structures as ‘S-V’or ‘V-O’. That is to say, the frequent usage of ‘-ㅁ/음’ seems to be the consequence of the endeavor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Chinese language, and to maintain the features and word orders of the language in which gerunds are highly developed, adding the ‘-ㅁ/음’suffix to the verb form on the subject or object position to reenact the original word orders of the Korean Language.

한국어

<소학언해>는 <번역소학>이 지나치게 의역에 흐른 것에 대한 반성으로 축자역을 따른직역체 번역문이다. 동일 내용의 한문 원전을 언해한 것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들 모두 한문의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축자역을 원칙으로 한 <소학언해>의 경우 한문 문법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았을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가설 하에 본고는 명사화 어미 ‘-ㅁ/음’ 의 사용을 중심으로 직역체 번역문인 <소학언해>의 용례를 <번역소학>과의 비교 속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의역체인 <번역소학>에 비해 직역체인 <소학언해>에 명사형 어미 ‘-ㅁ/음’의사용이 뚜렷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문의 ‘V1-V2’구조의 구문을 ‘S-V’구조 또는‘V-O’구조로 파악하려는 경향에 인한 것으로 동명사가 발달한 한문의 어휘적 특성과 어순을최대한 유지하면서 SOV형인 한국어의 기본어순을 재현하기 위해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오는 동사 형태에 명사화 어미인 ‘-ㅁ/음’을 추가하여 명사적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한문의형태적 제한성을 극복하려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ㅁ/음’의 문법적 기능과 <소학언해>에서의 분포 양상
 3. <소학언해>에 나타난‘-ㅁ/음’구문의 유형 및 통사적 특성
  1) ‘V2-ㅁ/음 -V1’ 유형 구문의 통사적 특징
  2) ‘V2-ㅁ/음 -존재사’ 유형 구문의 통사적 특징
  3) ‘V1-ㅁ/음 -이다’ 유형 구문의 통사적 특징
  4) ‘V1-ㅁ/음 -같다’ 유형 구문의 통사적 특징
  5) 기타 유형 구문의 통사적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성금 He Chengjin.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