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消失의 슬픔과 주체성의 발현 - <入燕記>에 체현된 李德懋의 중국관 -

원문정보

Grief over the Disappearance of Civiliz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Subjectivity - The Chinese view in Ib-Yun-Gi written by Lee Dukmoo -

소실의 슬픔과 주체성의 발현 - <입연기>에 체현된 이덕무의 중국관 -

朴香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e Dukmoo, the author of Ib-Yun-Gi, takes the perspective of readers and relatively free narration to present the content, form and the way of record in this book. And the plain language and the author’s sincerity also make Ib-Yun-Gi truly reflect the author’s thinking and feelings. In terms of the emotion contained in this work, it’s more like the unconscious sadness than the excitement one experiences from the exotic place. Having witnessed the decline of Chinese civilization, Lee Dukmoo criticized the fading away of Chinese traditional etiquette and immersed himself in thinking of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he searched the remains of Ming buildings for any trace left by Han people and gave his severe criticism to Qing Dynasty. It seems to him that the relics and people in Ming Dynasty constitute the important part of Chinese civilization and that Qing Dynasty is only the period when China was ruled by Manchu rather than Han peopl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hesitance of Korean intellectuals over whether to accept Manchu culture, Lee Dukmoo also adhered to the concept of Mingfen (a concept developed by the Confucianism that one’s identity determines his or her responsibility) and the conviction of honoring the Ming Dynasty. Although he felt sad and lost, Lee Dukmoo still, in an objective viewpoint, shouldered the responsibility of culture rejuvenation, which ushered in the Korean literature.

한국어

본고는 <입연기>에 체현된 이덕무의 개인적 성향이 그의 중국인식 그리고 "북학"사상과어떻게 접맥이 되는지를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덕무의 <입연기>는 독자의 시선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개인적 글쓰기 방식을 취한다. <입연기>의 자아성에 대해 주목을 하고 있는 이유는 자아적 글쓰기가 저자의 가장 꾸밈없는 진솔한 모습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입연기>의 감정적 색채는 이국체험에 대한 흥분보다는 무의식적인 슬픔을 전제로 한다. 옛문명의 消失과 몰락을 두눈으로 확인한 이덕무는 중국의 전통적인 예의와 문명의 상실을 규탄하며 짙은 懷明사상에 빠지곤 한다. 그는 무의식적으로 잔재한 건축과 자연에 시선을 돌렸으며 명나라 유민의 종적을 찾아 기록하곤 하였다. 그러나 청조의 현실을 평가함에 있어서는거리감을 유지하고 있으며 냉철한 비판을 동반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 자연과 인간이 잔재한문명의 중국이었다면 청조통치의 현실은 타자로서의 중국이었던 것이다. 이덕무의 “북학”은경제나 제도에 대한 학습보다는 중국문명의 근간 즉, 중국 학술에 대한 배움을 의미한다. 이덕무가 존주숭명 사상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던 것은 강렬한 민족감정과 유가 "명분론"의체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또한 당시 조선문인들이 청조문화 수용에 있어서의 모순과 방황의 구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상실감으로 하여 객관적 시각을 유지할 수 있었고 또한그 슬픔 때문에 문화회복의 사명감을 느끼고 그 과정에서 조선적인 문학을 개척하였던 것이아닐까 싶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는 말
 2. 個人的인 글쓰기
 3. 消失의 슬픔
 4. 他者로서의 중국
 5. 주체성의 발현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朴香蘭 박향란. 廣東外語外貿大學校 東方語言文化學院 한국어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