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스마트 워치 수용 보류 소비자 집단의 혁신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문정보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es: Two Types of Innovation Resistance

김효정, 이진명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3권 4호 2017.12 pp.101-123

doi:10.15790/cope.2017.13.4.10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es by examining the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This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is a useful framework for identifying the various consumer responses to innovation. Additionally, it can also be used to understand the multiple dimensions of consumer response to innovation. A total of 407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only those who reported planning to purchase a smartwatch in the near future were selected.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arried out using AMOS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interested and rejection of smartwatches are considered as the two forms of innovation resistance. First, disinterested and rejection increases significantly with relative advantage. Second, disinterested and rejection decreases significantly with complexity. However, disinterested decreases significantly with compatibility, aesthetic attitude, and enhanced social image.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manufacturers of smartwatches. Fur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of consumers' innovation adoption decis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수용을 보류한 소비자 집단의 스마트 워치 저항(무관심,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혁신 저항 모델을 중심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 심미적 태도, 그리고 사회적 이미지 고양이 스마트 워치 저항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스마트 워치를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스마트 워치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 20-40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총 407명이며,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 이점이 스마트 워치 무관심과 거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복잡성이 스마트 워치 무관심과 거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적합성, 심미적 태도, 그리고 사회적 이미지 고양이 스마트 워치 무관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 저항을 무관심과 거부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여 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기술 수용을 지연하고 있는 소비자 집단에 대한 이해와 신기술 수용 지체자들을 위한 소비자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 워치의 개념 및 특성
  2. 소비자의 혁신 저항
  3. 혁신 저항 모델 : 혁신 저항의 예측 요인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1. 상대적 이점과 스마트 워치 저항
  2. 적합성과 스마트 워치 저항
  3. 복잡성과 스마트 워치 저항
  4. 심미적 태도와 스마트 워치 저항
  5. 사회적 이미지 고양과 스마트 워치 저항
 Ⅳ.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방법
  2. 조사 도구
  3.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Ⅴ. 연구 결과
  1.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2. 구조 모형 분석 및 가설 검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효정 Kim, Hyo-Jung.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강사
  • 이진명 Lee, Jin-Myong.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조교수
  • 나종연 Rha, Jong-Youn.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