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생산직 근로자의 초과근무 여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Overtime Work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Blue-Collar Workers

박윤희, 채덕희, 김수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vertime work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Korean blue-collar workers. This cross-sectional study collected data on 229 Korean blue-collar workers in six small-sized compani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effect of overtime work while considering convergence variables.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when overtime work variable was included in the model, R2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HRQoL were overtime work (β=.152, p=.025), depression (β=-.192, p=.003) and night shift work (β=-.201, p=.032).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optimal working hours standar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blue-collar work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소규모 산업장에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의 초과근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본 서술적 조사연구는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6개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 하는 생산직 근로자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융합적 관점으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한 상태에서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초과근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과근무를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 변화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초과근무(β=.152, p=.025), 우울(β=-.192, p=.003), 야간근무(β=-.201, p=.032)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의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최적 근로시간 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자료수집
  2.4 연구 도구
  2.5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특성
  3.2 인구학적, 심리사회적, 건강증진행위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차이
  3.3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 및 초과근무의 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윤희 Yunhee Park.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 채덕희 Duckhee Chae.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희 Suhee Kim3.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간호학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