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삼 재배시 생육기간 동안 환경적 요인인 미세기포수가 ginsenos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ine Bubble on the Production of Ginsenoside during the Growth Period of Ginseng Cultivation

안철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ginsenoside by continuously treating fine bubble, which are mainly used for environmental purification, in 2-year-old ginseng.The ginsenoside content and composition of ginseng leaves and roots were analyzed for 4 months (120 days) after application of Fine bubble.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common water in leaves, only Re of protopanaxatriol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fine buble, it was confirmed that protopanaxadiol Rb1, RC, Rb2 and Rd components were also increased. Especially, the increase of Re and Rb1 resulted in an increase of total ginsenoside. The ratio of PD / PT to ginseng was 0.811 in finebubble treated leaves and 1.28 in root. The fine bubble treatment induced the synthesis of ginsenoside from the roots and resulted in a PD / PT ratio of close to 1.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cultivating high quality ginseng using fine bubble water and suggests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which can be used with leaves as well as roots.

한국어

본 연구는 환경정화에 주로 사용되는 미세기포를 2년 근 인삼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인삼이 성장하면서 변화되는 형태와 ginsenoside 변화를 조사하는 융합적 연구이다. 인삼 재배시 미세기포수를 적용하여 4개월 동안 (120일) 재배한 후 인삼의 잎과 뿌리의 부위별 ginsenoside 함량과 조성을 분석하였다. 잎에 일반수를 처리한 결과 protopanaxatriol(PPT) 계열 Re 함량만 월등히 높게 나타났지만 미세기포수를 처리한 결과 protopanaxadiol (PPD) 계열 Rb1, RC, Rb2, Rd 성분도 같이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Re, Rb1이 다량 증가함으로써 전체 적인 total ginsenoside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인삼의 부위별 PD/PT 비율은 미세기포수를 처리한 잎에서는 0.811으로 나타나고 뿌리는 1.28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세기포수 처리가 뿌리에서 ginsenoside의 합성을 유도하여 PD/PT 비율이 1과 가까운 결가를 가져와 유용성분의 증가 및 고른 분포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미세버블 수를 사용한 고품질 인삼을 생산하는 재배 방법을 제시하고 인삼의 뿌리와 더불어 잎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인삼재료
  2.2 표준품 및 시약
  2.3 인삼 Ginsenoside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재배조건에 따른 인삼 생육
  3.2 일반수, 미세기포수 처리 후 부위별ginsenoside 함량 변화
  3.3 일반수, 미세기포수 처리 후 부위별ginsenoside 분석
  3.4 일반수, 미세기포수 처리 후 부위별ginsenoside 조성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철현 Chul-Hyun Ahn.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