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受益構文とアスペクト性について

원문정보

Benefactive Construction and Aspectual Property

朴用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ntrastively examines [Benefactive Construction], a common format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hese two language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similar structures and semantics. However, besides these similarities, the two languages show different judgment tendencies when benefactive verbs are combined with [-고/아 있다(-go/a issda] and [-te iru] respectively, both representing aspectual property. Based on this idea, this paper considers the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s.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languages in terms of the aspectual marker placed before or after benefactive verbs is also examined. First, the paper examined the difference in aspectu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spectual properties of Korean, it was found that in most instances [-고/아 있다(-go/a issda)] and [-te iru] could not be attached to benefactive verbs,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On the contrary, in Japanese, the combination of [-te iru] with benefactive verbs is comparatively easier. Second, the paper researched the properties of benefactive verbs. Benefactive constructions in Korean inherit the meaning of the main verb in the process of achieving grammaticalization from the main verb to the assistant verb, while in Japanese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is more extensive. By this peculiarity a fair number of semantic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ition of an Object] or [Terminative Aspect] that can be found in benefactive constructions in Korean still remains after the grammaticalization. However, in Japanese, the meaning is not necessarily retained after conversion. Thus, this paper has clarified the different combination possibilities of benefactive verbs in Korean, [-고/아 있다], and Japanese, [-te iru]. It is shown that this phenomenon com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aspectual property] and the [benefactive verb]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한국어

본고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수표현]에 관한 대조연구이다. [수수표현]은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문장 형식으로, 한·일 양 언어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조와 의미를 갖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그러한 유사한 구조와 의미를 서로 공유하고 있는 반면, 가령 상적 특성을 나타내는 [-고/아 있다(-go/a issda]와 [-te iru]가 수수동사와 결합될 경우에는 양 언어가 서로 다른 문장의 판단 경향성을 보인다. 그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양 언어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에 있어서, 양 언어의 상 표식이 수수동사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와, 수수동사 뒤에 위치하는 경우를 조사하여 그 경향성을 알아본 결과, 양 언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상 특성의 차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어의 [-고/아 있다(-go/a issda)]와 [-te iru]의 상적 특성에 의해 한국어는 일부 동사를 제외하고는 수수동사와의 결합에 제약을 보였다. 반면, 일본어는 [-te iru]와 수수동사와의 결합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졌다. 두 번째로, 수수동사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어의 수수표현은 본동사에서 보조동사로 문법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본동사의 의미를 다수 계승하고 있는 반면, 일본어는 문법화의 정도가 크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에 의해, 흔히 수수표현에서 볼 수 있는 [대상물의 이동]이나 [동작의 완료] 등의 의미특성이 한국어의 경우에는 문법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상당수 남아 있는 반면, 일본어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고에서는, 한국어 [-고/아 있다]가 수수동사와 결합할 수 있는 확률과 일본어[-te iru]가 수수동사와 결합 가능한 확률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으며, 그러한 현상은 한 일 양 언어의 [상적 특성]과 [수수동사]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본 고찰을 통해 증명하였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ていてやる(あげる)/くれる」と「〜고/아 있어 주다」
  2.1 日韓両言語の「アスペクト性」の違い
  2.2 「持続」の定義
  2.3 授受表現における「移動」と「完了」
 3. 「〜てやって/くれている」と「〜어 주고 있다」
  3.1 「〜어 주고 있다」の成立条件
 4. 結論
 参考文献(Reference)
 요 지

저자정보

  • 朴用萬 박용만. 仁荷大學講師, 日本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