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べし>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일고찰 ― <べから󰠏>에 대한 대역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the Translation Style for 'beshi' in Japanese-Korean Translated Materials

閔丙燦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describe our investigation of the word and its semantic interpretation, form and features and its subsequent use in materials translated between Japanese and Korean. In Japanese has a relatively wide meaning. In both the classical and the modern language, is used as a unique expression of specific effects when describing something quaint or majestic. The question is which expression would convey a similar impression in the Korean language? In this paper, we describe a comparison of the Korean Bible and the Japanese Bible in which we considered the form and features of 『Ilmunyeokbeob』 and 『Chosunchongdokbugwanbo』 in translations. We found that the materials selected the forms as a translation for , implicating that can be translated by using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a Chinese character.

한국어

본고는 20세기 초 일한대역자료에 등장하는 <べし>에 주목하여 그 대역어의 형식과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일본어의 <べし>는 비교적 다양한 의미를 갖는 조동사 가운데 하나로서 文語의 세계에서뿐만 아니라 현대어에서도 특유의 표현효과를 낸다. 즉 고풍스러움이나 장중함을 그 표현효과라고 한다면 한국어에서 해당 표현효과를 낼 수 있는 형식으로 무엇을 들 수 있을까 생각해본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어문 가운데 고풍스럽고 장중함을 가장 잘 나타낸 문헌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하는 <성서>와 일본어 성서를 비교하는 방법을 채택해보았고, 그리고 이에 이어서 『일문역법』과 『조선총독부관보』에서의 대역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능히>나 <마땅히> 그리고 <가히>와 같은 부사어를 선행시키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べし>를 한국어역하는 것이 한자 어휘나 다른 문법형식과는 달리 축어역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일 텐데, 한편으로 종래의 한문훈독의 방식을 원용하는 방식으로 일본어와 대응시켰다는 점에서 일본어 <文語文>에 대한 적절한 한국어 번역방식을 일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 <べし>의 의미・용법과 문제의 소재
 3. 󰡔聖書󰡕에서의 <べから󰠏>
 4.『일문역법』에서의〈べから-〉
 5.『관보』에서의 〈べから-〉
 6.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요 지

저자정보

  • 閔丙燦 민병찬.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