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거홍보 수단으로서 후보자포스터와 현수막에 나타난 시각적 표현 요소 분석- 2016년 강릉시 4・13 국회위원 선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Visual Expression Components shown in Election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as a Tool for Election PR : Centering on 4・13 Election in Gangneung City in 2016

홍창의, 정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end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design trend of campaign posters for election and coming up with message strategies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for the advanced election campaign poster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election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candidates utilized in the 20th election of members for the national assembly in April.13. 2016.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d visual expression components such as layout, color, picture, typography for election campaign posters, whereas analyzed placards based on the Aristotle’s rhetorical analysis frame, attempting to examine under what kinds of connection these two media platforms delivered messages. As a result, even though the conspicuous difference of election campaign posters between each candidate, the common feature and a little of difference have been shown. In other words, layout exhibited a stable composition through bilateral symmetry, each candidate utilized colors peculiar to the political party that they are belonging to. In pictures, all of three candidates looked at the front with the smile, but the difference was the degree of brightness in the facial expression. As for typography, a candidate mostly utilized the gothic characters, indicating the image of integrity and straightforwardness, while another candidate employed tilted characters, referring to the dynamic image. More, the finding from the analysis of placards showed that a candidate belonging to the government party have used credible and rational rhetoric rather than emotional rhetoric, whereas other candidate from the opposition party employed emotional rhetoric a lot. As a study as to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in the regional election, not big c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the work of design and slogan for the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in regional election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현재의 선거포스터 디자인 트렌드를 이해하고, 향후 보다 향상된 선거포스터의 개발이라는 차원에서 메시지 전략 수립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을 목적으로 강릉에서 2016년 4월 13일에 치러진 제20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후보자들이 활용했던 선거포스터와 현수막을 분석하였다. 특히 선거포스터에 대해서는 레이아웃, 색상, 사진, 타이포그래피 등 시각적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현수막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들 두 매체의 활용이 어떠한 연결성 속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각 후보자들의 선거 포스터 간 차이는 크지는 않았으나, 공통점은 물론 약간 식의 차별성을 보였다. 즉 레이아웃에서는 좌우대칭구도를 통한 안정적인 구도를 유지하고 있었고, 색상에서는 대체로 소속당의 고유색상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사진에서는 세 후보 모두 정면을 향하고 미소를 짓는 모습을 보였으나 차이가 있다면 표정의 밝기 정도였다.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모든 글자에 대해 고딕체를 활용하여 좀 더 강직하고 곧은 이미지를 보여주는 후보자가 있는가 하면 슬로건에 기울임체를 활용하여 역동적이고 움직임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현수막 분석결과에서는 한 후보는 감성적 수사보다는 논리적이고 이성적 수사를 많이 사용한 반면, 또 다른 후보는 감성적 수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도시가 아닌 지역 선거에서 포스터와 현수막에 대한 연구로서 향후 지역 선거에서의 포스터 및 현수막의 디자인 및 슬로건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이론적 배경
  1) 선거홍보 관련 선행연구
  2) 선거포스터의 시각적 표현 요소 관련 선행연구
  3) 선거슬로건 관련 연구
  4)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4. 분석결과
  1) 선거포스터의 시각적 표현요소에 대한 분석
  2) 선거현수막의 슬로건에 대한 분석
 5. 결론
 6.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창의 Changeui Hong. 가톨릭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 정현주 Hyeonju Jeong. 가톨릭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