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작업치료중재가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Mastectomy Patients’ Physical Func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김혜미, 오명화, 백지영, 정현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the physical function, muscle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mastectomy patients, and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stretching was applied as the therapeutic activity. The trial was applied for 40 min per day, twice a week for 12 weeks. The physical function was checked using Korean version of Brief Fatigue Inventory (BFI-K) and Baseline Dyspnea Index(BDI) the muscle activity was check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nd the quality of life was checked using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Breast(FACT-B). Results: The degree of fatigue was improved after intervention, dyspnea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p<.01), and the muscle ac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ectoralis major (sternocostal head), anterior deltoid, middle deltoid, and infrasupinatus(p<.05). The quality of life after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total score of life quality, Physical Well-Being(PWB), Functional Well-Being(FWB), Breast Cancer Subscale (BCS), and significantly improve(p<.001). Conclusion: We can conclude from the above that th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breast cancer patient recover.

한국어

목적 : 작업치료중재를 통한 유방암 환자의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칭, 치료적 활동 및 일상생활활동으로 구성된 작업 치료중재 프로그램을 40분씩 주 2회 총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신체기능은 한국판 간이 피로 평가지 (Korean version of Brief Fatigue Inventory; BFI-K), 기본 호흡곤란 지표(Baseline Dyspnea Index; BDI)를, 근 활성도는 surface Electromyoghraphic (sEMG)를, 그리고 암 치료 관련 기능적 평가 - 유방 암(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Breast; FACT-B)를 통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 신체기능에서 피로도와 호흡곤란 정도는 감소하였으며(p<.01), 근 활성도는 앞쪽․중간 어깨세모근, 큰가슴 근의 복장갈비머리 부분, 가시아래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삶의 질은 총점과 하위 영역 중 Physical Well-Being(PWB), Functional Well-Being(FWB), Breast Cancer Subscale(BCS)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1). 결론 : 중재 후 신체기능과 근 활성도, 삶의 질 모두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이는 작업치료 중재가 유방절제 술 환자의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절차
  3. 연구 및 측정 도구
  4. 통계 처리
 Ⅲ. 연구 결과
  1. 작업치료중재에 따른 신체기능의 변화
  2. 작업치료중재에 따른 근 활성도 변화
  3. 작업치료중재에 따른 삶의 질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미 Kim, Hye-Mi.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오명화 Oh, Myung-Hwa.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백지영 Baek, Ji-Young.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정현애 Chung, Hyun-Ae.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