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도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rivation and Evaluation of Core Practice Competency for Occupational Therapy

이향숙, 윤여용, 노종수, 송재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Core Practice Competencies(CPC) of occupational therapists able to measure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examined an evaluation method for competency experts and beginning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 From November 2016 to July 2017, the validit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CPC items were examined for competency experts and beginning occupational therapis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s with experts, 134 CPC sub-items were derived. The first questionnaire(52 respondents) for the competency experts focused on their importance and frequency. Atotal of 104 CPC sub-items were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The validity and evaluation method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econd questionnaire(54 persons). The beginning occupational therapists(102 persons) also examined the validity, importance, frequency, and evaluation methods of 104 sub-items. Result: The sub-items of CPC consist of 104 items.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ranged from 0.85 to 1.0 for a group of job experts and a group of beginning occupational therapists. The 104 sub-items were categorized into 21 evaluation areas that were presented at Korean Accreditation Board for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KABO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the evaluation methods include the actual performance(highest), Subject, Object, Assessment, Plan(SOAP), video, chart review, and case study. Conclusion: A CPC, which must essentially be fulfilled during occupational therapy training, was investigated. The sub-items were identified and the evaluation methods were presented. This result will be used as a tool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pre-occupational therapist in a school or clinical setting.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직무전문가와 초임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치료(학)과의 역량중심 교육의 성과를 측정 할 수 있는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 직무전문가와 초임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최소 역량의 중요도와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항목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평가항목은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 문을 통하여 134개의 핵심실무역량 하위항목을 도출하였고 직무전문가에게 1차 설문(52명)으로 104개의 핵심실무역량 하위항목을 1차 확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직무전문가 2차 설문(54명)을 통해 타당도, 평가방 법을 조사하였다. 초임작업치료사(102명)에게 타당도, 중요도, 수행빈도, 평가방법을 조사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하위항목은 직무전문가집단과 초임작업치료사집단에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Index; CVI)가 0.85~1.0 범위로 나타났다. 이를 한국작업치료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21 개 평가 영역의 하위항목으로 범주화하였으며, 21개의 영역에 포함되기 어려운 하위항목은 기타영역으로 두었다. 평가방법은 항목의 특성에 따라 직접실기, 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SOAP), 동영 상, 차트리뷰, 사례연구 등이 나왔으며 직접실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사 핵심실무역량을 임상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핵심실무역량의 하위항목을 규명하 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학교에서나 임상현장에서 예비 작업치 료사의 역량 평가도구로 활용함으로 작업치료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2. 작업치료사 최소역량 수행준거의 중요도
  3. 핵심실무역량 항목의 내용 타당도 검증
  4.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평가 방법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Appendix

저자정보

  • 이향숙 Lee, Hyang-Sook.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윤여용 Yoon, Yea-Yong. 대전보건대학교 아동발달연구소
  • 노종수 Noh, Chong-Su.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송재철 Song, Jae-Cheol. 마산대학교 작업치료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