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버 소비자와 액티브 실버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서비스품질 비교 평가

원문정보

A Comparative Evaluation of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Quality Service between Silver Consumers and Active Silver Consumers

윤원규, 이아름, 이진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explores the segmentation variables of the growing silver industry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silver consumers and active silver consumers in term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apparel store service quality. Active silver consumers have become more independent with an aggressive and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relatively open-minded with wealt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8 male and female consumers over the age of 5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K-means method identified two groups: ‘silver’ consumer group is conservative and ‘active silver’ consumer group consisted of the open-minded and future-oriented. Second, for shopping orientation, five factors were found by using factor analysis: pleasure, economic efficiency, convenience, ostentation & trendiness and wearability. For store service quality, three factors customer service, facility services, policy services were drawn using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test show that the active silver group considers pleasure, economic efficiency, convenience, ostentation & trendiness and wearability more important in comparison to the silver group. In regards to the store service quality, the active silver consumer considers customer service, facility services, and policy servic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silver consumer group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on service quality. Silver consumers who considered customer service important also considered wearability important. Silver consumer group also considered convenience important also considered store policy service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more active silver consumer's pleasure shopping orientation, the more high value on facility services, and the more wearable shopping orientation, the more high value on policy service.

한국어

본 연구는 기존의 실버 소비자와 다른 소비행태를 보이는 액티브 실버 소비자의 의복 소비행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성장세에 있는 실버시장의 중요한 세분화 변수를 알아본다. 액티브 실버 소비자는 경제적 여유와 함께 새로운 것을 쉽게 받아들이는 적극적이고 강한 책임감을 가진 독립된 주체로 변해가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실버 소비자와 액티브 실버 소비자로 구분하고, 집단별 특성을 쇼핑성향 및 점포서비스 평가에 대한 뚜렷한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조사는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50세 이상의 남, 여를 대상으로설문을 실시하여 설문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의 K-평균 군집분석 방법을 실시하여 1군집은 174명으로 비활동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나타나 실버 소비자라 명명하였고, 2군집은 184명으로 개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향을 나타내어 액티브 실버 소비자라 명명하였다. 둘째, 쇼핑성향 요인분석 결과 쾌락적, 경제적, 편의적, 과시&유행적, 실용적 쇼핑성향의 5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점포서비스품질의 요인은 인적 서비스, 시설 서비스, 정책 서비스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두 집단간쇼핑성향과 점포서비스품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버 소비자에 비해 액티브 실버소비자가 편의성을 제외한 쾌락적, 경제적, 과시&유행적, 실용적 쇼핑성향과 점포서비스품질인 인적 서비스, 시설 서비스, 정책 서비스 모두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복구매 시 쇼핑성향이 점포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버 소비자의 실용적 쇼핑성향은 인적 서비스를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적 쇼핑성향이 높을 때는 정책 서비스를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액티브 실버 소비자는 의복을 구매할 때 쾌락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시설 서비스를 중요시 하였으며 실용적 쇼핑성향이 높을 때는 정책 서비스가 중요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실버 소비자 및 액티브 실버 소비자
  2. 쇼핑성향
  3. 점포서비스품질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및 절차
 Ⅳ. 분석결과 및 논의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요인분석
  3. 실버 소비자와 액티브 실버 소비자 구분 및 집단 특성
  4. 실버 소비자와 액티브 실버 소비자의 쇼핑성향 및 점포서비스품질 평가의 차이
  5. 실버 소비자와 액티브 실버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점포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윤원규 Yun, Won Gyu.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 이아름 Lee, Areum.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 이진화 Lee, Jin Hwa.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