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방형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보안 개념정립과 개선방향 분석 연구

초록

한국어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산업 간, 기술 간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경제 성장, 삶의 질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융합환경은 사회공학 공격, 산업스파이 범죄, 데이터 위 · 변조, 해킹 등의 다양한 보안 범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 형태가 폐쇄적 연구환경에서 외부 연구자와 협업,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개방형 연구환경으로의 변화가 실현되면서, 연구성과물에 대한 노출이 쉽게 이루어져 연구개발 성과물 대한 유출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성과물 유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연구개발 현장 보안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연구보안 개선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문헌분석 및 연구현장 실제 사례조사를 통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현장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는 연구보안 생애주기와 연구보안 개념 및 범위를 확정하고, 개방형 연구환경으로의 변화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기관 연구보안 실무자들이 체계적이고 일관된 보안관리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개선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보안 보안관리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연구기관의 연구보안 수준을 높이고, 연구개발 성과물 유출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서론
 선행연구
  연구개발 생애주기
  연구개발 개념
  개방형 연구개발 구조
  연구보안 컴플라이언스
 연구보안 개선요구사항 분석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나원철 Department of Security Convergence, Chung-Ang University
  • 장항배 Department of Industrial Security, Chung-A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