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대학생의 건강행위 평가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Eval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이창금, 박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This research is based on Roger’s(1975)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Weinstein(1988)’s Precaution Adoption Process Model as theoretical frameworks. The contents of the scale were first abstracted from personal depth interviews of qualitativ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 experiences and review of its related literature. The initial items consisted of 76 behavior questions and 34 perception questions. After conducting the preliminary test, 33 behavior questions and 24 perception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test by revis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and the item understanding test. The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test were distributed to 400 students enrolled in three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373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From the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item correlation, and factor relation turned out to be relevant. Five factors were determined from 27 items with a cumulative explained variance of 54.498 %. After examin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 27 items were finalized as th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보호동기 이론(Rogers, 1975)과 예방채택과정 모형(Weinstein, 1988)을 개념적 기틀로 사용하였다. 예비문항은 개별면담과 문헌고 찰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정과 문항 이해도 평가를 거친 후 CVI가 .8이상인 행위문항 55개, 인식문항 24개를 선정하고, 60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후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통해 행위문항 33개와 인식문항 24개로 본조사를 위한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설문지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00명에게 배포되 었고, 최종 373부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 결과로는 구성타당도를 위한 문항간의 상관관계와 요인간 상관관 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약물복용관리, 위해행동줄이기, 스트레스대처, 몸을 잘 보살피기, 영양관리의 다섯 요인으로 구분된 설명변량이 54.498%였다. 집단 간 비교를 보면 건강행위의 의도를 가진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행위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708-.810, 반분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702∽.789로 적합하였다. 본조사 때 수집된 설문지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 당도를 검정하여 결과적으로 최종도구의 문항은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용어의 정의
  1.4 연구의 개념적 기틀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절차
  2.3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예비도구의 구성
  3.2 내용타당도 검정
  3.3 본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3.4 최종도구의 문항
 4. 논의
  4.1 요인의 의미
  4.2 도구의 특징
 5. 결론 및 제언
  5.1 결론
  5.2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창금 Grace Changkeum Lee.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연숙 Yeon-Suk Park.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