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소셜 미디어 이용 : 청소년 대상 윤리적 요인과 그 영향

원문정보

Social Media Uses : ethical factors and the effects for teenagers

이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r empirical analyzing the ethical contents in using social media, such as what kind of ethical responsibility do the teenage users have, how do they recognize the ethical concept in producing or sharing the information and how these ethical factors affect their behavior of social media uses. After survey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es with available 227 cases are processed. As a result, there are 4 ethical factors in using social media which as included 'privacy', 'copyright', 'fullness', 'accuracy', 'truth-telling', 'fairness', 'relief of harmful effect', 'credibility', 'objectivity', 'impartiality', included 'moderation', 'respect', 'autonomy', 'control', 'care of mischief', included 'interactivity', 'multiplicity', 'anonymity', 'divergence', 'social community', included 'transparency', 'openness'. All these ethical factors are positive correlated to the level of social media users' opinion expression, opinion support, information leading, information searching. Especially,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to social media users' behavior.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 대상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어떠한 윤리적 책임을 가지고 정보 생산과 공유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지, 그들이 인식하는 윤리적 내용은 무엇인지 유형화함으로서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에 미치는 윤리적 영향을 실증적 으로 밝혀내었다. 윤리의 개념 및 구성요인, 윤리적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한 후, 유효한 227 건을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라이버시 보호’, ‘저작권 보호’, ‘완전성’, ‘정확성’, ‘진실성’, ‘공정성’, ‘각종폐해구제 책’, ‘신뢰성’, ‘객관성’, ‘불편부당성’ 항목이 포함된 <전통적 정보 윤리>와 ‘절제’, ‘존중’, ‘자율성’, ‘조절’, ‘해악조심’ 항목이 포함된 <사이버 윤리 덕목>, ‘상호작용성’, ‘복합정체성’, ‘익명성’, ‘정체성변이’, ‘사회공동체’ 항목이 포함된 <사 이버 정체성>, ‘투명성’, ‘개방성’ 항목이 포함된 <사이버 정보 윤리> 네 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고, 이 중에서도 <사이버 윤리 덕목>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모든 윤리적 요인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이용자들의 의견 표명 이나 지지, 정보 주도나 탐색 행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셜 미디 어의 이용과 의견 표명 혹은 지지, 정보 주도 혹은 탐색 행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윤리적 요인은 <사이버 정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2.1 소셜 미디어 윤리적 주체와 사회적 관계
  2.2 소셜 미디어 윤리적 실천 원리
  2.3 소셜 미디어 정보 윤리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및 연구모델
  3.2 설문대상 및 자료수집
  3.3 분석 유목
 4. 분석결과
  4.1 소셜 미디어 이용 윤리의 개념 및 구성요인
  4.2 소셜 미디어 이용 윤리적 요인의 특성
  4.3 소셜 미디어 이용 윤리적 영향 요인
 5.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5.1 소셜 미디어 이용 윤리적 특성
  5.2 소셜 미디어 이용 윤리적 영향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

저자정보

  • 이현숙 Hyun-Suk Lee. 사이버한국외대 교양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