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need for the revised child care practicum (January, 2017)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in three groups: 32 directors, 143 child care teachers and 130 pre-service teachers. Questionnaire were used ot collect the data and t-test, x-test and ANOVA were done for analysis. All three groups responded positively for the revised edition (extending the period of practicum from 4 weeks to 6 weeks). And perceived the extending the period is necessary for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s. Directors with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perceived the revision clearly than others. Most of teachers perceived the change through teacher retraining program. All groups pointed out for the implementing the revised edition successfully, supporting and cooperative system is in need for three groups.
한국어
본 연구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면타당도와 문항의 내적 신뢰도를 구한 설문지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4년제 관련학과 재학생인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배부하고 독립표본 ⅹ2-검정과 t-검정,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보다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어린이집 원장의 경우 경력과 상관없이 소지자격,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해 자세히 인식하고 있었고 보육교사의 경우는 소지자격보다 개정과 관련된 재교육이 인식을 좌우하였다.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 모두 보육실습 기간 연장에 긍정적이라고 하였다. 다만, 기간 연장에 따른 보육교사 및 예비보육교사의 실습지도와 실습 과정 수행의 부담감을 해소하기 위한 양성기관과 보육실습기관의 사전교육 및 협의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보육실습기관의 질을 선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 요구가 있는 바, 이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 개정안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추후 개정안의 보육현장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병행된다면 보다 더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방법
4. 결과 및 해석
4.1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 실습 개정안에 대한 인식
4.2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교육교사의 보육실습 개정안 운영에 대한 요구
5. 논의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