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초록
영어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group of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test its effect. Methods : We set the grocery shopping task for the theme of the program and we applied this program for 9 sessions. There were initial, final, and follow-up evaluation and training sessions were provided 6 times. In the every session, group training program for grocery shopping skills was conducted. The performance of grocery shopping skills was evaluated by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TOGSS). Results : At the final assessment of grocery shopping skill, there were increased performance skills especially in item collection and size comparison. Among 3 subjects, two showed in improved navigation skills in order to search for target items. However, there was no improvement in comparing the optical price of items. For the last, it was significant that the total time to spend for shopping were commonly decreased. The performance of grocery shopping were maintained in 2 subjects and another subject was unable to perform it at the 5 month later follow-up evaluation. Conclusion : The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group program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ful guide-lin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seek for the community based program. All 3 subjects showed the improved performance on shopping skill through this program.
한국어
목적 : 발달장애인의 마트장보기 과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해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 고 효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최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후 발달 장애인 3명에게 소규모 그룹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총 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훈련 전․후 및 5개월 후 3차례에 걸쳐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의 항목비교 및 크기비교 수행기술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 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3명 중 2명의 대상자는 마트 내에서 물건위치 찾기 수행도가 향상되었다. 반면 가격비교는 3명 모두 수행도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5개월 후 추적평가 시 대상자 2명은 마트장보기 수행기술이 유지되거나 향상된 모습을 보였고, 1명은 훈련효과가 퇴행하여 독립적으로 마트장보기가 불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들의 마트장보기 수행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프로토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연구 절차
3.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
4. 마트장보기 평가
5.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Ⅲ. 연구 결과
1. 마트장보기 수행기술 변화
2. 마트장보기 수행기술 변화의 서술적 기술
3.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Appendix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