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과 특징

원문정보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New Korean Religions’ Sacred Sites

허남진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sacred sites of the new Korean religions, specificall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Sindoan of Mt. Gyeryong-San (鷄龍山 新都案) as a sacred sit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list of indicators for sacred sites of the new Korean religions. This study arrives at the conclusion that these indicators determining the sacred sites for new Korean religions can be understood as holding ideas about the sacred sites of new Korean relig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se indicators are as follows. First, a sacred site may be a place related to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eligion’s Founder. Second, it may be a place related to doctrines and the Founder’s activities. Third, it may be a place where doctrine and the Founder’s remains are buried. Fourth, it may be a location of meaningful historic religious events. Fifth, it may be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ideal world (Utopia).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new Korean religions in Sindoan, Mt. Gyeryong-San and the nature of utopian thought can be said to be simply embodied as a place of existence and a place for construction of a Utopia, in combination with the longing for the ideal of the people.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 특히 계룡산 신도안이 성지로서 인식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신종교 성지의 특성을 규명해고자 한 것이다. 한국 신종교 성지 구획의 지표는 한국 신종교의 성지관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국 신종교의 성지 의 외연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교조의 종교체험과 관련된 장소이다. 천도교의 여시바윗골과 용담정, 증 산교의 대원암, 원불교의 영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 교조와 성인의 행적과 관련된 장소이다. 천도교의 최제우와 최시형의 생 가터, 은적암, 내원암, 용담성지, 통일교의 범냇골, 증산교의 동곡약방, 원불교의 영산성지, 변산성지, 익산성지 등이 해당된다. 셋째, 교조와 성인의 유해가 묻혀있는 장소이다. 증산교의 삼청전, 최제우의 태 묘, 최시형과 손병희의 묘소, 원불교 익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넷째, 종교사적으로 의미 있는 장소이다. 천도교의 봉황각, 대종교의 청파호, 원불교의 영산 성지, 변산성지, 익산성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다섯째, 현세의 이상세계 건설지이다. 통일교회의 청평성지, 증산교의 용화동, 일원산 기도원의 일월산, 산성기도원의 동래산성, 세계일가공회와 새일수도원 및 세계종교연합법황청의 계룡산 신도안 등이 해당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국 신종교 성지의 양상
  1. 천도교(동학)
  2. 증산교
  3. 대종교
  4. 원불교
  5. 통일교회
 Ⅲ. 유토피아로서 계룡산 신도안
  1. 한국 신종교의 계룡산 신도안에 대한 인식
  2. 계룡산 신도안의 유토피아적 성격
 Ⅳ.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남진 Heo Nam Jin.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참고문헌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