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다문화가정의 자녀 인성교육에 대한 경험이야기

원문정보

Mothers'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s on the Child's Charact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yoman

조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was the child's character education recognized by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what was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the child's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direction of the child's character education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 mothers wit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 lived in E city of Gangwon-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s character education recognized by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was said to doing character education at home such as becoming a good person, becoming a child to listen to the parent's words and to reconcile with family, and becoming a child who was in harmony with friends. Second, a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s character education, they often used a control language such as "Do not, no", when children did not behave properly. In particular, there were some cases of using threatening words such as "taking you to the police station". Third, they hoped that various interests and support would be provided, such as not listening to "You are ill-behaved because you are in a multicultural family," receiving husband's educational support, receiving grandparents' support, and interests from the educational institution, etc.

한국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인성교육이 무엇이며, 가정에서의 자녀 인성교육의 실제 및 요 구가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 인성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 구참여자는 강원도 E시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 6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들이 인지하고 있는 자녀의 인성교육이란 착한 사람 되기, 부모의 말을 잘 듣고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는 아이 되기,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아이 되기 등에 맞게 가정에서 인성교육을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 가정에서 자녀의 인성 교육의 실제에 있어서 자녀가 바르지 않은 행동을 할 때 ‘하지마, 안 돼’ 등 통제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경찰서에 데리고 간다’ 등 위협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이 라서 버릇이 없어’라는 말 안 듣기, 남편의 교육적 지지받기, 조부모의 지원받기, 교육기관에서의 관심 등의 다양한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절차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인지하는 자녀의 인성교육
  2.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의 인성교육에 대한실제 경험
  3.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의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미영 Mi Young Cho. 정회원, 한중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