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고려의 탐라 수탈과 良守의 亂

원문정보

The Goryeo Dynasty’s Exploitation of Tamra and Yangsu’s Rebellion

고려의 탐라 수탈과 양수의 난

전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angsu’s Rebellion’ that occurred in Tamra in 1168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peasants and lowly people in the Goryeo period, which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related to social status or movement for the liberation from the fetters of social status. Yangsu’s Rebellion occurred after Tamra, an independent country, was fully incorporated into the Goryeo Dynast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had difficulties managing Tamra because of a long distance, the rebellion was also attributed to the tyranny of the local official dispatched to the region. In those days, Goryeo’s demand for tributes from the neighboring country, which had existed before its incorporation into Goryeo, was regularized every year. Goryeo exactly knew the products of Tamra, which was its neighboring country, and some Tamra people attended the royal council of Goryeo. These situations also seem to have provided an excuse for Goryeo to incorporate Tamra as a province. In addition, the political compromise between the local official dispatched to Tamra and some local powers after its incorporation into Goryeo is highly likely to have been linked to the exclusion of Tamra's existing forces. On record, the primary cause of the rebellion lays in the excessive imposition of contribution, which the local officials committed unlawfully.

한국어

1168년 탐라에서 발생한 ‘良守의 亂’은 신분적 갈등이나 신분 해방운동의 성격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농민‧천민의 난과는 기본적으로 달랐다. 양수의 난은 독립국이었던 탐라가 고려의 지방으로 완전히 편입된 이후에 발생하였다. 또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중앙 정부가 관리하기 어려운 상황에 탐라로 파견된 지방관의 전횡으로 발생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고려의 지방으로 병합되기 이전부터 있어 왔던 蕃國에 대한 공납 요구가 매년으로 상례화 되었다. 이것은 고려가 번국이었던 탐라의 물산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고, 일부의 탐라민이 고려로 입조하였던 당시의 사정도 고려가 탐라를 지방으로 편입시키고자 하는 데 빌미를 제공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 더하여 고려의 지방으로 병합된 이후, 탐라 파견 지방관과 일부 토호세력이 정치적 타협은 탐라의 기존 세력에 대한 배제로 연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기록상으로는 지방관이 불법으로 자행한 貢賦의 濫徵에 1차적인 원인이 있다. 그러나 양수의 난은 탐라가 고려의 지방으로 완전히 편입되는 과정에서 불거진 정치적 역학관계의 불균형이 소외된 지방민의 난으로 연결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12세기 農民亂 발생의 원인과 전개
  1. 농민란 발생의 원인
  2. 武臣執權期 이후의 民亂
 Ⅲ. 1168년 良守의 亂 발생과 탐라
  1. 고려의 탐라 인식
  2. 양수의 난 발생과 성격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전영준 Jeon, Young-Joon. 제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