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植民地台湾の紙芝居活動をみつめる三者の視線について ― 植民地紙芝居研究の射程 ―

원문정보

Viewpoints of Three Parties about the Picture-story Show Activities in Colonial Taiwan : Range of Colonial Picture-story Studies

식민지태만の지지거활동をみつめる삼자の시선について ― 식민지지지거연구の사정 ―

新垣夢乃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problems for Kamishibai in Japanese colonial Taiwan by contrasting the different comments. The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based on activity records and interview materials obtained from Taiwanese people who were educated by Japan in Japanese colonial Taiwan. The key of the analysis is to carefully distinguish among the viewpoints of Japanese adults who performed Kamishibai, Taiwanese adults who commented on Kamishibai, and Taiwanese children who watched Kamishibai. Our understanding of the three viewpoints provided below is the result of considerable analysis. 1) Japanese adult (Conveyed the “Righteous” Japanese spirit by Kamishibai) ⇔Taiwanese adult (Criticized that Kamishibai is not a meaningful policy outcome and expounded the necessity for creating “Taiwanese mass culture” (traditonal culture) Kamishibai). 2) Japanese adult (Conveyed the “Righteous” Japanese spirit by Kamishibai) ⇔Taiwanese children (Kamishibai is not interesting). 3) Taiwanese adult (Emphasized “Taiwanese mass culture” (traditonal culture)) ⇔Taiwanese children (Kamishibai is an interesting recreational activity).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points of view, they should not only focus on Kamishibai, but also need to connect with new topics representative of the children’s viewpoint about the mass culture in the Japanese colonial Taiwan. Additionally, it should include all kinds of media such as movies, comic books, and popular songs. I also found other topics from this research related to this paper. One is the process of faculty and the fact that Christian staff promoted the state-promoted Kamishibai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is a serious topic relating to how people with a “common” position assisted actively. The second topic relates to the mobilization of people and experiences in the colony to occupy other land. This is a thought-provoking topic of how the Japanese empire that continued to be extended made flexible use of different tribes.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식민지 타이완의 가미시바이(紙芝居)를 둘러싸고 존재하는 서로 다른 평가를 대조적인 위치에 둠으로써 식민지 타이완의 가미시바이 연구가 내포하고 있는 문제의 소재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해 본고에서는 당시의 가미시바이 활동기록과 식민지기에 일본어교육을 받은 타이완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가미시바이 관련 기억을 자료로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의 관건은 타이완에서 가미시바이를 공연하는 일본인 성인, 이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타이완인 성인, 가미시바이를 보는 아동이라는 3자의 시선이 교착하는 모습을 세심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일련의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것은 ①일본인 성인(가미시바이를 통해 ‘올바른’ 일본 정신을 전달한다)⇔타이완인 성인(일본인이 연출하는 가미시바이를 무의미한 국책물로 비판하고 ‘타이완 대중문화(전통문화)’를 반영한 가미시바이 제작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②일본인 성인(가미시바이를 통해 ‘올바른’ 일본정신을 전하려고 한다)⇔타이완인 아동(가미시바이를 그다지 재미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 ③타이완인 성인(‘타이완 대중문화(전통문화)’의 강조)⇔타이완인 어린이(재미있는 오락 중 하나로 평가)와 같이 서로 다른 시선을 가진 3자의 관계이다. 이와 같은 3자의 관계성에 대한 주시는 가미시바이 뿐만 아니라 영화나 만화, 유행가와 같은 각종 미디어를 포함하는 전시하 식민지의 대중문화에 대해 아동의 시점에서 분석하는 새로운 문제를 시사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다. 덧붙여 본고와 관련된 조사에서는 연구해야 할 또 다른 과제도 발견됐다. 첫째는 전시하 식민지에서 교육관계자나 기독교관계자가 국책가미시바이 활동을 담당하게 되는 과정의 문제이다. 이것은 지역에서 ‘보통’의 입장에 있어야할 인물이 어떻게 적극적으로 전시협력으로 나섰는가에 대한 중요한 문제영역이다. 둘째는 식민지의 사람들이나 경험이 점령지로 동원될 수 있는 사태에 관해서이다. 이는 계속 확대되는 제국 일본의 지배시스템이 주변부의 이민족을 어떻게 활용한 것인지를 생각하는데에 흥미 깊은 문제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 紙芝居とは
 2.「國策紙之居」の登場
 3. 植民地の紙芝居活動にかんする先行研究
 4. 植民地台湾の紙芝居活動
  (1) 紙芝居活動の黎明期:キリスト教と公学校における紙芝居活動
  (2) 紙芝居活動の戦時体制:皇民奉公会への集中
  (3) 紙芝居活動の拡大:占領地での宣撫工作へ
 5. 紙之居活動の記錄 - 無自賞な權力性と伝統文化 -
  (1) 紙之居活動の記錄 - 日本人の視線
  (2) 紙芝居活動の記録 - 台湾人の視線 -
  (3) 紙芝居活動の記録 - 日本人と台湾人の視線のズレ、無自覚な権力性と伝統文化 -
 6. 子どもたちの視線 - 娯楽への欲求とプロパガンダ -
 7.結論
 参考文献(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新垣夢乃 Yumeno Arakaki. 吳鳳科技大學 助理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