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브리 영화 <바람이 분다> 다시 읽기

원문정보

Re-reading the Wind Rises

박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amine what the Wind Rises by Ghibli Studio suggests and in what historical and sociological context it was formulated. Thus far, only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me of the works created by the studio have been dealt with in the academic society and the Wind Rises is no exception. This thesis, however, delves into the significance of a phenomenon which this so-called “national animation movie” causes in terms of the way social communication is conducted in Japanese society. Exploring the multiple meanings in its structure, it focuses on what the “true message” of this movie conveys in the four different layers of the meaning of the text in relation to other tex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Wind Rises is totally different from other works that have the same subject matter as Zerosen, a Japanese fighter plane in the World War II, in that it does not contain historical revisionism. Furthermore, it even has contrary connotations to the revisionism. It conveys its hidden meanings in a similar way to the Grave of the Fireflies, another work of Ghibli Studio directed by Isao Takahata that also deals with war-related subject matters with the theme of ‘sincere attitude toward life’. In addi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riticism and defense of modernity by Japanese writers such as Ryotaro Shiba whom Miyazaki frequently associates with and often refers to for his inspiration. In conclusion, the true message of this work is the beauty of life, the existential concern that gives one the reason to live even in the curse-like modern times in Japan.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지브리 애니메이션 <바람이 분다>의 궁극적인 메시지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떤 역사적, 사회적 문맥 속에서 조형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이제까지의 지브리 애니메이션 연구의 경향이 개별 작품의 서사구조와 주제의식에 대한 탐구가 주를 이루고, <바람이 분다>에 대한 연구 역시 마찬가지의 경향을 띄는 가운데, 이 작품이 ‘국민영화’라 불릴 정도의, 일본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한 현상으로서 갖는 의미를 부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 작품이 갖는 의미구조의 다층성에 주목하여, 표면의 드러난 주제의식 아래에 숨겨져 있는 이면의 ‘진정’한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자, 네 가지의 층위에서 <바람이 분다>라는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바람이 분다>는 제로센과 관련한 역사수정주의와는 궤를 달리하는 것일 뿐 아니라, 오히려 상반되는 의도를 가지고 제작되었다는 점, 그 의도는 지브리의 또 다른 작품 <반딧불이의 묘>에서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이 전쟁이란 배경 속에서 보편적 ‘삶의 태도’를 논하고자 했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쟁이란 표면적 배경 뒤에 감추어져 있다는 점, 그 감추어진 의도는 시바 료타로 등 미야자키 감독이 창작활동에서 교류와 참조의 대상으로 삼아온 근대 일본 작가들의 일본 근대에 대한 비판과 옹호라는 문제의식으로 이어진다는 것, 그리고 이 근대라고 하는, 일견 ‘저주’와도 같은 시대를 그래도 살아야만 하는 이유로서의 ‘아름다움’이라는 실존철학적 고민과 사유가 이 작품의 ‘진정’한 메시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1. 머리말
 2. 연구문제 및 방법
  2.1 연구문제
  2.2 연구방법
 3. 연구의 결과
  3.1 ‘제로센 신화’와 역사수정주의에 대한 경계
  3.2 다카하타 이사오와 지브리의 철학
  3.3 일본의 ‘근대’를 고민한 작가들의 영향
  3.4 실존철학과의 공명
 4.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박선영 Park Sun-Young. 국민대학교 글로벌인문지역대학 일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