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金石範作品における通訳、スパイ、アメリカ ― 複数の朝鮮文学をつなぐために ―

원문정보

Translator, Spy and the US in Literary works by Kim Seokpom : Exploring a Possibility to Connect Modern Korean Literatures

금석범작품における통역、スパイ、アメリカ ― 복수の조선문학をつなぐために ―

宋恵媛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transition of the linguistic environment of Korean intellectuals from bilingual to trilingual between the 1940s and 1950s, by cross-examining the main characters who are interpreters, translators, and/or spies in Kim Seokpom’s works related to the Jeju Island 4.3 massacre. The first appearance of a trilingual spy/interpreter was in his debut volume the Death of Crows (1957). Similar character profiles followed in his other works including his masterpiece The Volcano Island (1976-1997). This paper reveals the necessity of the writer to be familiar with the setting in perceiving the true nature of the 4.3 incident, which occurred at the time of the transition of the US into an ex-colonizer in Japan. I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Korean American and Zainichi Korean writers who actually worked for the U.S. military as interpreters or translators during the Korean War are analys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duced in the US and Japan. Finally, instead of being bound by the nation state-centered “national literature” or being forcibly trapped in the South Korean-centered “Korean diaspora literature,” a vision for a new concept of “plural Korean literature” with wide branches into modern Korean history is presented.

한국어

본고는 재일조선인 작가인 김석범의 제주도 4.3관련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들을 ‘통역(번역자)’과 ‘스파이’를 단서로 하여 횡단적으로 검토하고, 194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조선인 지식인/작가들의 언어 환경이 이중성(조선어, 일본어)에서 삼중성 (조선어, 일본어, 영어)을 지닌 것으로 이행해간 과정을 고찰했다. 김석범이 3언어 화자인 통역/스파이라는 등장인물을 처음으로 설정한 것은 『까마귀의 죽음』(1957년)에서이며 그것은 형태를 바꾸면서 장편 『화산도』까지 여러 작품에 이어졌다. 이러한 인물설정이 일제 강점과 미국의 프레즌스의 교차로에서 일어난 4.3사건이라는 한국의 ‘기원의 폭력’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필연적인 것이었음을 밝혔다. 거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본고의 후반에서는 실제로 미군정 근무나 한국전쟁시의 미군 통역, 번역자를 경험한 재미한인 및 재일조선인 작가들을 구체적으로 들어 미국, 일본에서 각각 생겨난 디아스포라 조선인문학의 비교의 유효성을 살펴보았다. 거기에서 국가를 중심으로 한 ‘국민문학’에 구애되지 않고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이라는 범주에 억지로 집어넣지도 않는, 근현대사 속에서 분지해나간 ‘복수의 조선문학(Korean literatures)’ 이라는 개념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목차


 1.はじめに
 2.済州島四三関連作品における通訳、スパイたち
  2.1「鴉の死」(1957年、日本語)
  2.2「雉撃ち(꿩사냥)」(1961年、朝鮮語)
  2.3「ファサンド」(1965年∼1967年、朝鮮語)
  2.4 日本語版「火山島」(1976年∼1997年)
 3. 二重性から三(多)重性へ
 4.在日朝鮮人作家とコリアンアメリカン作家の交差
 5.お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宋恵媛 송혜원. 大阪経済法科大学アジア太平洋研究センター客員研究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