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의 술어문 제시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edicate Conjugated Form in Japanese High School Textbooks

오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manuscript discusses a method to present the conjugated form in the textbooks in use together with related problems by analyzing the conjugated form of the predicate in Japanese high school textbook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jugated form in textbooks is that ①a textbook is basically produced by focusing on the fundamental representation of communication, but a common sense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jugated form acts on the foundation. ②Most textbooks are more active in terms of the introduction and presentation of polite types than common types, the un-past than the past, and positive types than negative types. ③Most textbooks form grammar in the order of ‘noun –adjective –verb’in the polite type, and the conjugated form is expanded in the order of basic type, positive type of the un-past, and negative type of the un-past. ④The common type presents the form partially as occasion demands rather than presenting the form systematically, and the most current function is reading. ⑤There is a strong sense to present a conjugated system, so when a new form appears, it is arranged repeatedly. ⑥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present both positive and negative types of the un-past of the polite type of the adjective. Consequently,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presentation of the conjugated form in a textbook are that a conjugated form that is not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is presented, a presentation method focusing on a structural syllabus is used, and the negative type ‘∼naidesu’and the common type are passively introduced.

한국어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에 나타난 술어문의 형태를 분석하여 현행 교과서의 술어문의 제시방법과 그에 따른 문제점에 관해 논하였다. 교과서 술어문 제시의 공통적 특징은, ①기본적으로 의사소통기본표현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으나, 그 근저에 술어문 제시에 관한 공통된 인식이 작용한다. ②대부분의 교과서는 보통체보다 정중체가, 과거보다 비과거가, 부정보다 긍정형의 도입과 제시가 적극적이다. ③대부분의 교과서는 정중체에서 ‘명사→형용사→동사’의 순으로 문법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기본형에서 비과거 긍정, 부정형으로 확장한다. ④보통체는 체계적으로 형태를 제시하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제시하며, 가장 흔히 이용되는 기능은 읽기이다. ⑤활용체계를 한꺼번에 제시하려는 의식이 강해, 술어문 형태를 도입할 때마다 반복하여 정리한다. ⑥형용사의 정중체 비과거 긍정형과 부정형은 함께 제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다. 이를 통한 교과서 술어문 제시의 문제점으로 언어기능 활동과 무관한 술어문 제시방법, 활용체계를 강조하는 제시방법, 부정형의 제시방법, 보통체의 소극적인 제시방법 등에 관해 논하였다. 교과서는 수업의 기본 도구로서, 교수요목, 제시방법 등에 따라 학습자의 습득에 많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술어문의 형태는 의사소통 기능이 강조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학습항목이다. 본고에서 밝혀진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과서가 제작되기를 바란다.

목차


 1. 들어가며
 2. 2009개정교육과정
 3. 조사대상 및 분석기준
  3.1 조사대상
  3.2 분석기준
 4. 분석 결과 및 논의
  4.1 분석 결과
  4.2 결과 논의
 5. 마치며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오현정 HyunJung Oh.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일본어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