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세기 쇼쿠닌에(職人絵)의 変遷過程과 사회상

원문정보

The Transition Process and Social Aspect of 17thCentury ‘Paintings of Craftsmen’

17세기 쇼쿠닌에(직인회)의 변천과정과 사회상

김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late 17th century artworks “Paintings of Craftsmen” such as “Shokuninzukushizumaki” and “Shokuninzukushiyamatoe.” These artworks could not be a subject of discussion because they have been evaluated to imitate the composition of “Rakuchurakugaizubyobu.”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and exist separately in the paintings of these artworks unlike the work by craftsmen of the previous era.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space arrangement of paintings as well as the types of the occupations of craftsmen in the paintings, the paper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rtworks and review the flow of “Paintings of Craftsmen” at that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handicraft and technical jobs were mainly arranged in the artworks of the late 17th century, whereas jobs related to traditional entertainment, religion, and charm of the past were not arranged in the urban space but were mostly drawn . This is deep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urban space arrangement and how these spaces were formed in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early modern period. At that time, these artworks were produced in a period of turbulence ranging from the Momoyama Era to early Edo in the 17th century, by considering the building and arrangement of city scenery and the range of the term “craftsman” in this period. In other words, the composition of the artwork “Shokuninzukushiemaki” is related with the arrangement of urban space. These artworks can be considered as an indicator to understand the social status of job types at that time.

한국어

본고에서는 『쇼쿠닌즈쿠시즈마키(職人尽図巻)』 『소쿠닌즈쿠시야마토에(職人尽倭絵)』와 같은 17세기 후반 <쇼쿠닌에(職人絵)> 작품군을 대상으로 하여, 그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작품군의 그림구도는 『라쿠츄라쿠가이즈뵤부(洛中洛外図屛風)』의 구도를 답습한 것으로 평가되어 지금까지 거의 논고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작품군의 그림화면이 이전 시대의 직인그림과는 달리, <점포(店鋪)안>과 <노상(路上)>이 분리하여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림의 구도와 공간배치, 그리고 그림에 등장하는 직인들의 직종을 비교・고찰함으로써, 이들 작품군의 특성을 살펴보고, 당시 <쇼쿠닌에>의 흐름을 재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이들 작품군에 등장하는 직인의 직종을 <점포안>과 <노상>로 나누어 조사, 【표1-8】를 작성하여 분석해 보았다. 조사범위로는 우에스기본(上杉本) 『라쿠츄라쿠가이즈뵤부』와 이 작품의 영향을 받은 17세기 전반 기다인본(喜多院本) 『쇼쿠닌즈쿠시에뵤부(職人尽絵屏風)』, 17세기 후반 국립역사민속박물관본(国立歴史民俗博物館本) 『쇼쿠닌즈쿠시즈마키』, 히시가와 모로노부(菱川師宣) 『쇼쿠닌즈쿠시야마토에』, 스미요시 구케이(住吉具慶) 『라쿠츄라쿠가이즈마키(洛中洛外図巻)』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후반 작품군에서는 수공업, 기술적인 직종이 <점포안>에 주로 배치되고, 과거 전통적인 예능, 종교, 주술관련 직종이 도시공간 속에 자신의 토포스를 확보하지 못하고 <노상>에 그려지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당시 이들 작품군이 제작된 시기는 17세기 모모야마시대(桃山時代)를 지나 에도(江戸)초기에 이르는 격동의 시기로 도시경관의 건설과 배치, 직인이라는 용어의 범주가 변화하는 시기였다. 즉, 이 시기에 제작된 <쇼쿠닌에> 작품군의 구도, 즉, <점포안>과 <노상>의 분리된 그림구도는 도시공간의 배치문제와 관련되는 것으로, 사회적으로 그 직종의 위상을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쇼쿠닌에>의 그림구도와 화풍, 직인들의 직종과 공간배치 문제를, 당시 사회상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고찰함으로써, 17세기 <쇼쿠닌에>의 흐름을 재조명해보는 것을 그 목표로 한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쇼쿠닌에>의 흐름과 특징
  2.1 중세 <쇼쿠닌에>
  2.2 근세초 <쇼쿠닌에>
 3. <쇼쿠닌즈쿠시에마키>의 직종과 공간배치
  3.1 <점포안>에 배치된 직종군
  3.2 <노상>에 배치된 직종군
 4. <쇼쿠닌즈쿠시에마키>와 사회상
 5. 결론
 참고문헌(Reference)
 <요지>

저자정보

  • 김수미 KIM Soomi.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일본문화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